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장은하 (경희대학교) 조지영 (경희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제32권 제2호
발행연도
2020.11
수록면
373 - 376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an uncertain society, people experience various types of stress emanating from the environment, including crowd noise, restraint of freedom, or other environmental issues, which these critically impact their well-being and health. Especially with the COVID 19 pandemic, the desire to escape the source of stress and find a healing and therapeutic environment has risen.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holistic framework for healing and therapeutic environments that can be used by interested parties, such as researchers, designers, policy makers, and layperso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nvironmental qualities impacting healing and therapy yielded 12 characteristics of such environments. In addition, we reorganized the existing therapeutic environment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element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people are positively involved in the source of stress and placed the 12 characteristics under each element of the framework to produce a new framework. We expect it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research on healing and therapeutic environments.

목차

Abstract
1. 서론
2. 문헌조사
3. 힐링과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