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현오 (한양대학교) 김용승 (한양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 第36卷 第12號(通卷 第386號)
발행연도
2020.12
수록면
69 - 76 (8page)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rchitectural space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concept defined in the changes in library policies and social paradigm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ctive information search and autonomous visit and stay are recognized as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library. Based on the previous finding, the study analyzed the area ratio, spatial configuration, and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40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confirmed that the space ratio of the Public-use part and the Data-use part is higher than that of the public libraries of the previous generation, and the "reading deck" and "stairs in data use sector" are found as a new planning elements of the public library planning. In the integration value of individual spaces using spatial syntax, the public library with these elements is shown to be formed with the topological center of the whole building centered on the reading deck and the data use spac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국내 도서관정책 및 건립 지침의 변화
4.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의 변화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