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 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팬데믹 기간 코로나19 관련 허위정보는 어떻게 건강을 위협하는가? : 패널데이터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24 .08
허위정보에 맞서는 그들
방송문화
2020 .12
COVID-19 백신 허위정보에 대한 정정효과 : 접종이론(Inoculation Theory)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2022 .04
오정보(misinformation), 왜 믿는가? 어떻게 정정할 것인가? : 오정보와 그 정정에 대한 이론적 검토
언론정보연구
2020 .11
미디어 이용에 따른 오정보(誤情報·misinformation) 습득이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017 .11
‘가짜뉴스’라는 기호를 다루는 사람들: 저널리즘, 정보기술, 그리고 대중들의 문화정치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020 .12
코로나19 관련 허위정보에 대한 인식과 당파성의 역할
정부학연구
2022 .04
누가 소셜 미디어 상에서 오정보에 대한 댓글에 동조하는가?: 인지적 종결 욕구 및 성격 5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22 .12
유튜브 상의 허위정보 소비 실태 및 확산 메커니즘 생태계 연구 : 빅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2019 .10
북한 허위정보, 어떻게 막을 것인가
북한연구 시리즈
2020 .06
뉴스 리터러시의 하위차원 역량이 허위정보와 정정정보 수용에 미치는 효과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22 .09
허위 정보에 속지 않고 대응하는 방법_2022 선거 국면을 허위 정보 극복 기회로
신문과방송
2022 .02
북한 허위정보의 사회적 영향과 대응
북한연구 시리즈
2020 .06
미디어는 어떻게 허위 정보에 속았는가_허위 정보 생태계 속 보도 윤리 확립 필요
신문과방송
2022 .02
[세션 ③] 허위 정보와 팩트체크_허위 정보 대응, 사회적 비용 관점에서 대책 세워야
신문과방송
2020 .11
코로나19 전염병 속 가짜뉴스, 허위정보 및 허위조작정보 인식: 질적 탐구
팩트체크 동향리포트 'FACT(팩트)'
2022 .07
팬데믹 상황에서의 인지적 정보처리와 행위적 실천 : 비판적 이해와 사회적 소통능력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21 .10
온라인 허위정보의 규제를 위한 접근법 - 허위정보의 의미와 본질, 규제 방향을 중심으로 -
과학기술법연구
2019 .01
구글, ‘허위 정보 백서’ 발간_내·외부 조직과 협력한 전략적 제재로 허위 정보 잡는다
신문과방송
2019 .04
허위정보 예방정책 국민인식 조사 연구
팩트체크 동향리포트 'FACT(팩트)'
2022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