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우환의식과 경계의 철학으로서 유학
3. 공감적 체인의 방법으로서 서(恕)
4. 양단(兩端)의 초월적 방법으로서 중용(中庸)
5. 유학의 철학상담 방법론의 현대적 의의
6.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서계(西溪)의 『중용』 분장절(分章節)체계에 관한 연구
유학연구
2020 .01
탈초월화의 길
철학사상
2021 .05
성호의 경(經)?전(傳) 체제 『중용』 해석 연구 -『중용질서(中庸疾書)』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20 .01
해내는 방법
번역하다
2022 .10
The Jesuits’Latin Translations of the Zhongyong 中庸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6 .08
[히스토리아] 중용이란 말을 되새기며
월간에세이
2020 .07
상상초월 외 1편
시조시학
2020 .06
아리스토텔레스와 유가의 중용과 중화의 문제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아리스토텔레스와 유가의 중용과 중화의 문제〉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The Virtue and Absence of the Middle Way in Sophocle’s Oedipus the King
한국 예이츠 저널
2016 .01
중용(中庸) 그리고 천명(天命)
철학과 현실
2021 .03
‘조선철학’ 대 ‘한국철학’ : ‘북’의 조선철학 연구 특징과 남북철학의 공동연구 가능성
시대와 철학
2019 .01
2000년대 이후 북한철학계의 연구경향과 그 특징―『철학연구』(2000-2016)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9 .01
張九成의 中和說에 관한 연구 -『中和說』의 『中庸』 1장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철학∙사상∙문화
2021 .01
〈中庸 · 天命〉아! 朝鮮글
철학과 현실
2021 .06
율곡 『聖學輯要』의 성왕론 - 『大學衍義』, 『聖學十圖』와 비교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9 .01
‘지구학’에 대한 방법론적 고민, 장‘ 소-세계’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9
〈中庸· 天命〉 독립운동
철학과 현실
2021 .09
1950년대 한국의 철학연구자들에게 ‘철학’은 무엇이었나: ‘철학개론서(단행본과 번역서)’ 서문에 나타난 자기인식
사학연구
2025 .03
중심에 맞서는 방법
창비어린이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