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3 · 1운동
3. 대한민국임시정부
4. 한중공동항일전선
5. 중국 언론에 비쳐진 한국독립운동
6. 한국독립운동과 중국공산당
7. 중국 동북지역 한국독립운동
8.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키워드 네트워크(Keyword Network)를 활용한임시정부 시기 독립운동과 중국 연구 동향 비교 분석 -CNKI와 RISS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24 .09
항일전쟁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중국의 지원
한국학논집
2019 .12
중일전쟁 전후 중국정부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정책 변화
남도문화연구
2022 .12
중국에서 한국여성독립운동사 연구 현황과 과제
여성과역사
2019 .01
HISTORY TEACHER’S REVIEW: WHAT DOES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MEAN TO US?
Public History & Museum
2019 .12
중국 현대 韓人題材詩歌에 나타난 ‘抗日’과 ‘獨立’ 양상 硏究
세계문학비교연구
2017 .01
2014~2015년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6 .02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 언설의 변화와 새로운 동향 - 중국의 항전연구 강화와 한중공조에의 함의 -
한중관계연구
2017 .01
『한국독립운동사연구』50집 간행(1987~2015)의 성과와 연구사적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5 .08
이규채의 在中 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4 .08
延薇堂의 생애와 독립운동
역사와 담론
2015 .01
한국광복군의 항일투쟁과 중국현대문학(1917~1949) - 이범석의 항일투쟁을 반영한 작품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1 .05
‘기획’과 ‘특집’으로 본 2020~2022년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국사』교과서의 독립운동사 구성 방식 검토
역사교육
2020 .12
회고록을 활용한 다원적 관점의 여성 독립운동 학습
역사교육논집
2020 .01
패전 직후의 일본의 사회문화상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후기작품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08
한국독립운동세력과 CC파·역행사의 공동 첩보활동
동양학
2016 .01
역사 사료적으로 살펴본 3·1운동 관련 ‘문헌’
신학지남
2019 .03
한국독립운동에서 무장투쟁의 전개와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0 .02
1930~40년대 申基彦의 在中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7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