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양지원 (숭실대학교) 유해연 (숭실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 第37卷 第3號(通卷 第389號)
발행연도
2021.3
수록면
75 - 86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 of a start-up living lab led by SH Corporation, which can be operated by young architects and resident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 of SH Corporation-led start-up Living Lab, which can be operated by young architects and residents together, and to suggest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the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Living Lab were analyzed. Second, representative cases of domestic living lab operation was analyzed. Third, it reveal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H Youth Architect Project. Fourth, the current statu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iving labs operated by young architects were analyzed. Finally, the direction of living lab model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as proposed.

목차

Abstract
1. 서론
2. 리빙랩의 정의와 도입 배경
3. 리빙랩 사례 분석
4. SH청년건축가 주도형 공간복지 프로젝트
5. 사업의 의의
6. SH청년건축가 사업의 한계 및 발전방향
7.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