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정수 (단국대학교)
저널정보
미국헌법학회 미국헌법연구 美國憲法硏究 第32卷 第1號
발행연도
2021.4
수록면
131 - 165 (35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헌법상 정치적 기본권은 현대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사의 정치적 활동의 자유는 교사 개인의 기본권적 인권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올바른 가치관과 세계관을 교육해야 할 교사의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권리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에서 교사에게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누릴 수 있는 최소한의 정치적 기본권이 인정되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정당 가입의 자유 등으로 이루어진 정치적 기본권은 민주주의 헌법 국가에서 민주시민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기본권 중의 하나이며, 이는 국민이 정치적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국가의 정치적 의사 형성에 참여하는 정치적 활동을 보장해준다.
교사와 공무원은 공익실현의 의무가 있는 국민 전체의 봉사자이자, 동시에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된 자유와 권리의 행사를 통하여 자신의 인격을 발현하는 기본권의 주체이다. 이러한 교사와 공무원의 이중적 지위로 인하여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되는 사적인 활동과 정치적 참여가 직무수행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여기서 제기되는 정당 가입 제한과 같은 정치적 기본권의 정당성 문제는 개인의 기본권적 자유와 교사·공무원의 특수한 지위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헌법적 문제이다. 교사의 자유로운 정치 활동은 교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필요하며, 심의민주주의의 확대와 심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폭넓게 보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학교는 학생들이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적인 정치적 소양을 키우는 공간이기 때문에 교육자와 피교육자 모두에게 다양한 정치적 표현을 통한 상호의사소통이 더욱 요청된다. 따라서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을 제한하는 것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만 인정하고, 이를 전면적으로 허용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의 의의와 성격
Ⅲ.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에 관한 비교법적 사례
Ⅳ.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 제한에 대한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12)

  • 헌법재판소 2014. 3. 27. 선고 2011헌바42 전원재판부

    가. 정당가입 금지조항은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고 초·중등학교 교육의 중립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입법목적의 정당성이 인정되고, 정당에의 가입을 금지하는 것은 입법목적 달성을 위한 적합한 수단이다. 공무원은 정당의 당원이 될 수 없을 뿐, 정당에 대한 지지를 선거와 무관하게 개인적인 자리에서 밝히거나 투표권을 행사하는 등의 활동은 허용되므로 침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89. 12. 18. 선고 89헌마32,33 全員裁判部

    가. 폐지(廢止)된 법률(法律)(실효(失效)된 법률(法律)이라도 헌법재판소법(憲法裁判所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청구인(憲法訴願審判請求人)들의 침해(侵害)된 법익(法益)을 보호(保護)하기 위하여 그 위헌여부(違憲與否)가 가려져야 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심판(審判)의 대상(對象)이 된다.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8. 5. 29. 선고 2006헌마1096 전원재판부

    가. 공직선거법 제86조 제1항 제2호가 규정하고 있는 “선거운동의 기획에 참여하거나 그 기획의 실시에 관여하는 행위”란 공무원이 선거운동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일체의 계획 수립에 참여하는 행위 또는 그 계획을 직접 실시하거나 실시에 관하여 지시ㆍ지도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말하며, 이는 건전한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20. 9. 3. 선고 2016두32992 전원합의체 판결

    [1] 헌법 제37조 제2항은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헌법상 법치주의는 법률유보원칙, 즉 행정작용에는 국회가 제정한 형식적 법률의 근거가 요청된다는 원칙을 핵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0. 6. 25. 선고 89헌마220 전원재판부〔기각〕

    1. 가. 법률(法律)이 별도의 집행행위(執行行爲)를 기다리지 않고 직접적(直接的)·현재적(現在的)으로 기본권(基本權)을 침해(侵害)하는 경우에는, 바로 그 법률(法律)에 대한 헌법소원(憲法訴願)도 가능하다.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1. 7. 22. 선고 89헌가106 全員裁判部

    가. 헌법(憲法) 제31조 제6항은 국민(國民)의 교육(敎育)을 받을 기본적(基本的) 권리(權利)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교원(敎員)의 보수(報酬) 및 근무조건(勤務條件) 등을 포함하는 개념인 “교원(敎員)의 지위(地位)”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법률(法律)로써 정하도록 한 것이므로 교원(敎員)의 지위(地位)에 관련된 사항에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20. 4. 23. 선고 2018헌마551 전원재판부 결정

    자세히 보기
  • 대전지방법원 2010. 2. 25. 선고 2009고단2786,4126,2009고정2259 판결

    [1]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 소속 교사인 피고인들이 교사들의 서명을 받아 정부정책을 비난하고 국정쇄신을 요구하는 내용(제1차) 또는 표현의 자유 보장과 시국선언 교사에 대한 고발·징계방침 철회 및 대통령의 자세전환을 요구하는 내용(제2차)의 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시국선언 탄압 규탄대회 등 집회에 참가함으로써, `공무 외의 일을 위한 집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4. 3. 25. 선고 2001헌마710 전원재판부

    가.이 사건 청구인들(중등학교 교육공무원인 지방선거 선거권자들)은 별도의 집행행위 없이 이 사건 법률조항에 의하여 정당가입 및 선거운동이 금지되었으므로 자기관련성 및 직접성이 있다. 한편, 선거운동은 당해 후보자의 등록이 끝난 때부터 선거일 전일까지에 한하여 이를 할 수 있는바, 현행 헌법소원절차에 미루어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보다 약 8개월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2. 11. 12. 선고 89헌마88 全員裁判部

    가. 교육법(敎育法) 제157조, 교과용도서(敎科用圖書)에관한규정(規程) 제4조, 제5조에 의하면 중학교(中學校) 교과서(敎科書)의 편찬은 교육부가 직접(直接) 또는 위임(委任)하여 편찬하게 되어 있어 일반(一般) 사인(私人)은 물론 국어교사(國語敎師)라 할지라도 이를 저작(著作)·발행(發行)·공급(供給)할 수 있는 길이 봉쇄되어 있으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5. 5. 25. 선고 91헌마67 全員裁判部

    가. 지방의회의원선거(地方議會議員選擧)에 있어서 정부투자기관(政府投資機關) 직원(職員)의 입후보를 제한하는 지방의회의원선거법(地方議會議員選擧法) 제35조 제1항 제6호의 위헌(違憲) 여부에 관하여 아직 그 해명(解明)이 이루어진 바가 없고, 신법(新法)인 공직선거(公職選擧)및선거부정방지법(選擧不正防止法) 제53조 제1항 제4호에서도 이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9. 12. 23. 선고 99헌마135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은 `누구나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정당을 설립하고 가입할 수 있는 자유`를 제한하는 규정이다. 정당에 관한 한, 헌법 제8조는 일반결사에 관한 헌법 제21조에 대한 특별규정이므로, 정당의 자유에 관하여는 헌법 제8조 제1항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정당의 자유를 규정하는 헌법 제8조 제1항이 기본권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