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유강하 (江原大學校)
저널정보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 인문연구 제90호
발행연도
2020.3
수록면
159 - 188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고대 중국인들은 오랫동안 꿈에 관심을 가져왔다. 그들은 오래 전부터 꿈을 다루는 방법을 궁구하고, 정확한 해석을 위해 전문가를 두었으며, 꿈을 분류하고 기록해왔다. 이미 주대(周代)부터 점몽가가 있었고, 청대(淸代)에 이르기까지 수십 권의 몽서가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몽서의 경우, 대부분 일실되어 구체적인 내용을 알기 어렵다. 고대의 몽서 가운데서도 『몽점일지』는 내용이 비교적 완정하게 남아 있어, 고대의 꿈 기록의 면모를 확인하는 중요한 텍스트라고 평가되고 있다.
『몽점일지』의 기록을 분석해보면, 여기에서 언급되는 ‘몽점’은 미래에 대한 예측인 ‘점’의 의미를 뛰어넘어, 몽자(夢者)의 심리와 무의식을 드러내고 해석하는 측면도 있다. 고대의 꿈해석은 주술의 영역에서 해석될 뿐만 아니라, 심리학과 정신분석학 등을 포함한 인문(人文)의 영역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꿈해석의 주체로는 점사(占師), 점몽자(占夢者), 술자(術者) 등이 있는데, 그 외에 몽자의 상황을 잘 이해하는 주위 사람과 박학다식한 지식인 역시 꿈해석의 주체가 되었다. 꿈을 해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상징성을 이용한 방법, 탁자(拆字)와 해음(諧音)을 이용한 방법이 있었다.
『몽점일지』는 고대 중국의 풍부한 꿈과 꿈해석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고대 중국의 꿈에 내재된 보편성과 특수성을 드러내다. 꿈은 몽자의 심리를 반영하는 분석대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대 중국의 상징문화를 잘 보여주는 살아있는 텍스트이다. 『몽점일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각 문화는 꿈을 해석하는 고유한 방식을 갖고 있다. 고대 점몽서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연구는 다양한 꿈해석의 사례를 제공하게 될 것이고, 더 나아가 동서양 꿈 비교연구에 있어 의미 있는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고대 중국의 꿈과 『몽점일지』
2. 꿈, 점(占)과 해석 사이
3. 『몽점일지』 외편의 꿈과 해석
4. 꿈해석의 열린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