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규완 (중앙대학교) 양우현 (중앙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32권 제5호
발행연도
2021.10
수록면
29 - 39 (11page)
DOI
10.6107/JKHA.2021.32.5.02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Elementary schools are evenly distributed in the urban residential fabric as an essential infrastructure. However, along with the constant decrease of students due to low birth-rate, they result in underused leftover spaces or closing down of school. These schools have potentials to be remodelled with various facilities including housing and community program. Especially, public housing in the school site can resolve the current housing shortage problem in the existing neighborhoods. This study aims to present planning and desigh guidelines for public housing for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in Seoul. The survey was made for 523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298 schools were found to be in a underused state and classified into development types. The classification factors are residential area density, required community program, school site condition and school layout, accessibility for development. Finally, four development types are judged to be highly feasible for mixed-use development. Practical and detailed guidelines are proposed for these four types. This investigation may be applied in providing public housing, utilizing the existing underused schools.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주거지내 학교시설의 유휴화와 활용 가능성
III. 도시 공공임대주택과 학교시설의 주거 복합화
IV. 학교의 임대주택 복합개발 방법
V.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