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이도윤 (건국대학교) 권오정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제33권 제2호
발행연도
2021.11
수록면
373 - 376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housing function in the new normal era for the echo-boomer generation, who will be the main consumer class in the housing market, and to propose a floor plan accordingly. First, through a survey of 300 Echo-Boomers,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changes in the frequency of daily living activities at home, preference for living space, psychological changes, and preference of the floor plan after COVID 19 by household type. Next, by analyzing the results, we established the housing function in the New Normal Era and proposed specialized floor plans accordingly. As a result, ‘Comfort’ increased the most in the housing function in the new normal era, and ‘Open-Seeking type’ and ‘Layered Home Preference type’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results of the housing space preference analysis. Therefore, we propose three concepts of specialized floor plan for the new normal era by household type; ‘Home-Ludens’ pla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ork & Life’ plan for couples without children, ‘Clean & Nurture’ plan for couples with childr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뉴노멀 시대의 주거기능
Ⅳ. 뉴노멀 시대의 평면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