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The 38th Parallel: A Borderline of Rupture, Exchange, and Clashes
Thick Border: DMZ and its Derivative Spaces
Border-Crossing: Risk and Possibility
New Border-Crossing and Border-Making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Made in Border
제3시대
2018 .06
토마스 킹의 경계적 사유와 북미 원주민의 트랜스로컬리티의 문제
영어권문화연구
2016 .12
Comparison and Alignment of Healthcare Data Cross-border Flow Rules under RCEP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한중관계연구
2024 .06
국경의 다중성 개념을 통해 본 아세안지역경제협력의 국경자유화 정책: 태국 북부 치앙라이(Chiang Rai) 국경교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019 .01
<선을 넘는 녀석들>-TV 예능 프로그램과 역사 대중화-
서양사론
2019 .01
中国对其他金砖国家跨境电商出口贸易的影响因素研究 ― 基于引力模型的实证分析
중국학
2021 .12
History of Transborder Minorities and Their Invisibility
Korea Journal
2020 .09
19세기 말 조・러 접경에 대한 조・청의 ‘空曠地’ 논리 대두와 의미
대동문화연구
2017 .01
최근 중국학계의 전근대 종번과 변강 인식 문제
동북아역사논총
2022 .12
북한의 경계·국경 인식과 북·중 접경지역 경비(1945~1947) - 국경경비대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냉전의 예외와 규칙 : 냉전사를 통해 본 한국 현대사
역사비평
2015 .02
Freedoms, Security, and Development: Border Exclusion Zones in Post-Soviet Russia
REGION
2020 .01
[On This Topic] Christianity, the Cold War, and the Constru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 Journal
2020 .12
Making of a North Korean Borderland: Northern Gangwon, 1945-1950
Korea Journal
2023 .06
[중국 근세Ⅱ] ‘중국’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 지형 : 현황과 발전 가능성
역사학보
2016 .10
‘경계’의 개념으로 다시 읽는 상하이 도시문화 ― 20세기 초중반 상하이 도시문화 연구방법론 시탐(試探)
중국어문학논집
2024 .10
독일 냉전사 연구의 관점과 주제들
역사비평
2015 .05
19세기 말 조선인의 연해주 월경과 한인마을의 형성 -조·청·러 삼국의 쇄환교섭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2 .05
조선후기 義州 지역의 교류와 義州民의 異國 경험
로컬리티 인문학
2015 .04
사상심리전의 텍스트로서 한국전쟁 : 자유세계로의 확산과 동아시아적 귀환
역사비평
2017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