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Made in Border
제3시대
2018 .06
[On This Topic] Division, the Formation of Cold War Borders, and Border-Crossing
Korea Journal
2022 .03
中国对其他金砖国家跨境电商出口贸易的影响因素研究 ― 基于引力模型的实证分析
중국학
2021 .12
토마스 킹의 경계적 사유와 북미 원주민의 트랜스로컬리티의 문제
영어권문화연구
2016 .12
<선을 넘는 녀석들>-TV 예능 프로그램과 역사 대중화-
서양사론
2019 .01
국경의 다중성 개념을 통해 본 아세안지역경제협력의 국경자유화 정책: 태국 북부 치앙라이(Chiang Rai) 국경교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019 .01
[중국 근세Ⅱ] ‘중국’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 지형 : 현황과 발전 가능성
역사학보
2016 .10
최근 중국학계의 전근대 종번과 변강 인식 문제
동북아역사논총
2022 .12
RCEP and Its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A CGE Approach
인문사회과학연구
2020 .01
북한의 경계·국경 인식과 북·중 접경지역 경비(1945~1947) - 국경경비대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19세기 말 조・러 접경에 대한 조・청의 ‘空曠地’ 논리 대두와 의미
대동문화연구
2017 .01
엄흥섭 소설의 변모양상과 해방기 귀환서사 연구 -「귀환일기」와 「발전」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19 .01
Freedoms, Security, and Development: Border Exclusion Zones in Post-Soviet Russia
REGION
2020 .01
삼국(중국, 북한, 한국)이 만나고 연결되는 단둥 : 국경도시이자 해항도시의 관점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10
『朝鮮義勇隊通訊』의 旣影印刊物에 누락되었던 號·期·面들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1 .11
[총설] 한국 동양사 연구의 심화와 신 동향 : 다양한 ‘경계 넘기’
역사학보
2016 .10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동아시아 철도망의 의미 연구 1-1920년대 시의 철도 표상을 중심으로
구보학보
2022 .08
19세기 말 조선인의 연해주 월경과 한인마을의 형성 -조·청·러 삼국의 쇄환교섭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2 .05
수기치인의 관점에서 본 간재 전우의 ‘혈구지도(?矩之道)’ 주석 분석
한국철학논집
2021 .11
Beyond Cultural Border : German Missionary in Korea, Koreanologist in Germany, André Eckardt (1884-1974)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