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정태종 (단국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42권 제1호(통권 제77집)
발행연도
2022.4
수록면
502 - 505 (4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1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is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op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Wester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for provision the information of design methods and spatial composition in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in spatial composition are revealed in Wester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 and there ar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m. The second one is that the topological types of operation in Western spatial composition can be classified as penetration type, folding type, solid/void type between two masses, interweaving operation with multiple unit mass relationships and tong(penetration), adjustable folding, courtyard(void), and relationship with natur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third one is that there is similarity in penetration and which connect outdoor space and indoor space to continuous spatial flow. Western penetration is usually static, but Korean tong has dynamic change with adjustable folding doors and windows. On the other hand, folding type is one of the main topological types in Western contemporary architecture but it do not show as a main typical design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 inner courtyard(voi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s the core space with multi-purpose space to make the penetration and void type, and it has potential power to control spac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위상학과 위상학적 건축의 이론적 고찰
3. 서양 현대건축과 한국 전통건축의 위상학적 특성과 유형 분석
4. 서양 현대건축과 한국 전통건축의 위상학적 특성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