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여전히 90년대?
2. 발화주체별 청년 담론의 양태
3. 청년 담론의 문제점
4. 청년 있는 청년 담론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비참한 청년과 화려한 기성세대? : 청년성과 ‘세대 게임’
자음과모음
2015 .09
아는 세대가 모르는 세대에게
신학정론
2018 .12
‘MZ세대’는 한국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철학과 현실
2022 .03
청년문화는 왜 하필 1970년대였을까?
인물과사상
2016 .02
청년운동이 말하는 ‘공정’과 ‘세대’ -2016년 이후 창립한 노동, 환경, 교육단체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2021 .11
〈너의 이름은〉에서 일본 청년세대의 사회성 부재를 읽는다
문화과학
2017 .09
지역의 ‘청년문화 기획’과 청년의 ‘지역문화 기획’ : 청년세대와 중간세대 사이에서 지역문화 기획자 박진명을 만나다
문화과학
2018 .03
한국 사회 ‘MZ세대’와 정치 참여
철학과 현실
2022 .03
청년이라는 난민 : 국민도 시민도 아닌 난민이 되어버린 청년 세대
문화과학
2016 .12
한국의 MZ세대 이야기: 기성세대의 상식을 넘어서다
지식의 지평
2022 .05
MZ세대 직장인의 업무태도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20~30대 MZ세대의 관점을 중심으로
주관성 연구
2024 .03
중국의 청년 세대: 애국과 소비의 주체를 넘어서
지식의 지평
2022 .05
청년의 초상과 청년교육 : 『조광(朝光)』을 중심으로 본 전시체제기 교육담론
역사연구
2023 .05
위기에 빠진 것은, ‘청년’이 아니라 ‘사회’다
황해문화
2019 .06
취업준비생에서 청년노동자로 : 2000년대 이후의 청년노동
문화과학
2019 .06
변한 것은 ‘세대’가 아니라 ‘시대’다
철학과 현실
2022 .03
세대담론 2018, 그리고 영화 <1987>
역사비평
2018 .02
‘청년’의 삶에 드리운 빛과 그림자 - 문학작품에 드러난 청년의 이야기
문학들
2019 .11
왕숴(王朔)와 최인호 문학의 청년 표상 연구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08
386세대와 젠더: 남성헤게모니와 386세대 여성
비교문화연구
202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