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공간이론과 유토피아
2.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유토피아 공간들(푸리에, 생시몽, 오웬)
3. 마르크스주의와 혁명의 공간
4. 크로폿킨과 블로흐의 유토피아
5. 현대 마르크스주의와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
6. 근대공간을 넘어 포스트모던 공간으로
7. 포스트모던을 넘어 새로운 공간이론으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70년대 미국 여성작가 SF 유토피아 전망의 모호성과 개방성: 어슐러 르 귄의 『빼앗긴 자들』과 마지 피어시의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
영미연구
2020 .01
프레드릭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현재적 가치: 유토피아적 사유의 복원을 위하여
영어권문화연구
2021 .01
마지 피어시의『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에 대한 여성주의적 독법: 유토피아 문학에서의 방문자-안내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1 .01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수용과 변용 : 김미연, 『번역된 미래와 유토피아 다시 쓰기
민족문학사연구
2022 .12
A. 보그다노프의 소설 『붉은 별』에 나타난 유토피아 세계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17 .06
공간 접기
제3시대
2016 .09
공간에 관한 존재론적 역설과 전환 — 동아시아 사유를 통한 대안적 공간 접근 —
동양철학연구
2017 .01
유토피아적 상상력과 젠더: 모어의 『유토피아』와 카벤디쉬의 『빛나는 세계』를 중심으로
비평과이론
2020 .01
볼노프(O. F. Bollnow)의 공간론 연구
윤리연구
2016 .03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 재론(再論)
역사민속학
2019 .12
이성교 시의 공간 분석 연구
한국민족문화
2016 .11
“空间转向”与叙事空间
중국학논총
2020 .01
『아틀라스의 마녀』: 유토피아적 세계를 향한 개혁의지
현대영어영문학
2015 .01
‘힐링 영화’ 속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 : 〈찬실이는 복도 많지〉와 〈소공녀〉를 중심으로
코기토
2021 .10
아리스토파네스 이전 구(舊)희극 작품들에 나타난 이상세계(理想世界)에 대한 동경의 의미에 관하여
시민인문학
2020 .01
푸코의 바깥의 공간과 헤테로토피아 공동체
시대와 철학
2022 .06
근현대 영미문학 속 유토피아 연구
현대영어영문학
2022 .08
김수영 시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 연구
한국문학논총
2022 .12
블로흐의 유토피아사상과 무신론적 희망의 윤리
장신논단
2024 .09
바이어하우스의 하나님 나라 사상과 에큐메니칼 유토피아 오류
한국개혁신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