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공동주택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주거형태이며, 개개인의 사생활이 밀집된 동시에 타인과 불가피한 물리적 밀접성을 지니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충돌이 일어난다. 때문에 공동주택 생활공간 내외에서 다양한 문제로 입주민 간의 갈등이 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갈등은 코로나19 사태로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그 심각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고 있으나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갈등의 사후 해결 뿐만 아니라 사전 예방에도 초점을 맞춰, 이웃 간 관계 개선 및 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가능한 인간 중심의 디자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인간 중심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으로 알려진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사용자 조사는 노원구에 위치한 아파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공동주택 거주 경험자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실제 당사자들이 겪는 문제와 필요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릉역 인근 18개의 아파트 단지의 게시물을 수집하여 공공 주택 주민 간에 발생하는 이슈들을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파트 입주민과 현직 경비원, 관리사무소 직원, 이웃사이센터장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기존 공동주택 온라인 커뮤니티의 문제점과 함께 심층적이고 사실적인 니즈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웃 간 이해, 소통, 협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공동 주택 주민들의 경험에는 주로 이웃 간 관계, 공동주택 관련 주민 활동, 다양한 갈등상황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안된 서비스 기능은 커뮤니티, 공식 행사, 이웃 생활, 배려의 장 4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되었다. 커뮤니티는 이웃 간 친밀감을 형성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을 담고 있으며 공식행사는 공동주택 내 입주민 회의나 투표 등 공공의 참여가 요구되는 사항을 온라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 이웃생활은 공동주택 내 공공 가치를 함께 실현하고 협력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공동체 문화를 조성하는 기능이며, 배려의 장은 이웃 간의 갈등 완화 및 예방이라는 취지에서 비롯된 기능이다. 결론 오늘날 공동주택 입주민 간의 갈등은 단순한 말다툼을 넘어 강력 범죄로 확대되며, 심각한 사회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공동 주택 입주민 간 갈등 해결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와 향후 연구를 통해 이웃 간 소통과 이해의 증대라는 근본적 해결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Nowdays in Korean society, public housing is the most common form of residence. But in the public housing conflicts between neighbors occur frequently because individuals’ privacy is concentrated and inevitable physical closeness with others exists. This conflict is serious as external activities have decreased due to COVID-19, and the time spent at home has increased. Various governmental interventions have been made to address this problem, but there are still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more fundamental and sustainable human-centered design solutions to improve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s and form a community culture by focusing not only on post-resolution of conflicts but also on prevention.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The user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apartments located in Nowon-gu. A survey was conducted on 66 people to analyze their problems and needs related to the public housing. In addition, posts from 18 apartments near Gongneung Station were collected to analyze issues occurring among residents of public housing.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apartment residents, incumbent security guards, management office employees, and the head of the neighborhood center in order to identify actual needs along with problems related to existing apartment online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design ideas for fostering mutual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neighbors were creat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apartment residents mainly involved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s, resident activities related to apartments, and various conflict situations. The proposed service function consists of four categories: community, official event, neighborhood life, and consideration. The community contains the function for forming intimacy and sharing information between neighbors, and official events allow public participation in apartments-related activities through online media. Neighborhood life is a function for creating community culture by providing chances to cooperate for public values in apartment houses, and the place of consideration is a function aiming at mitigating and preventing conflicts between neighbors. Conclusion Conflicts between residents of apartments have now spread beyond simple quarrels to violent crime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service design to fundamentally resolve conflicts between residents of apartments, an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mote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