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윤영 (경기연구원) 성영조 (경기연구원) 박정지 (경기연구원) 천화진 (연세대학교)
저널정보
경기연구원 정책연구 [정책연구 2022-01] 구리시 노인복지정책 개선방안 연구 :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행태를 중심으로
발행연도
2022.1
수록면
1 - 161 (16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in Guri through a survey, an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Accordingly, existing studies on the welfare needs and delivery system of the elderly as well as the local social security plan related to Guri were reviewed.

The elderly in Guri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whether they use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ose who use both senior citizen and welfare centers, individuals who do not use either of the centers, people who use only senior citizen centers, and those who use only welfare centers. Furthermore, reflecting the tendency of the elderly to diversify their welfare needs, we examined how the elderly in Guri are excluded from the welfare system in various aspects such as income security, health, mental health, housing, work, and leisure culture.

The analysis found that the elderly who only used the senior citizen center and those who did not use either the senior citizen or welfare center were inferior in terms of economy, health, housing, work, and leisure culture. The need for leisure facilities such as senior welfare and general welfare centers has been generally emphasized by the elderly in Guri, and there was also a common demand for including subsidized living expenses and economic support in elderly welfare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for the elderly in Guri were established through an advisory meeting with academic and field experts, and 4 strategies and 11 implementation tasks were derived. It wa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be included in the 「5th Guri City Community Security Plan」, scheduled to be established in 2022, for improving the execution power of this study.

목차

[표지]
[정책건의]
[Contents]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노인복지정책 기존 문헌 검토]
1. 노인복지정책 연구동향 분석
2. 구리시 노인복지 관련 사회보장계획 검토
[제3장 구리시 노인 특성 및 노인복지정책 현황]
1. 구리시 노인인구 구조 및 특성
2. 구리시 노인복지정책 및 전달체계 현황
[제4장 「구리시 노인실태조사」 분석 결과]
1. 「구리시 노인실태조사」 개요
2. 구리시 노인 유형화 및 복지 욕구
3. 구리시 노인복지 사각지대 특성
[제5장 구리시 노인복지정책 개선방안]
1. 기본방향 및 전략
2. 주요 추진과제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