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릿말
2. 국어보급 사업의 준비와 조직 구성
3. 전후의 언어 현실과 국어 학습 열기
4. 국어보급의 방침과 방언 문제
5. 강성 국어정책과 반발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말을 두고 말해본다
중국조선어문
2017 .03
국경을 넘나들던 친일파 - 이완용과 근대 중국의 매국노 담론(1905~1945)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1 .06
일본어의 복수 표지 ‘-たち’의 사용 범위 확대에 대한 고찰 ―트랜스 동아시아적 예비 분석도 겸하여―
일본문화학보
2023 .02
조선어 한자어접사의 형음의의 대응관계 연구
중국조선어문
2017 .05
20세기 전기 중국 국어운동의 전개 -언어 통합의 과제를 둘러싼 離合-
역사와 담론
2022 .01
소수언어와 언어권리
영어영문학
2015 .02
‘방언’에 대한 언중의 언어 태도 고찰
어문논총
2022 .02
韓国語慶尚道諸方言音調変化
일본어문학
2020 .01
The Effects of Language Difference on L2 Learners’ Language Performance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2
국어교육에서의 언어정체성과 문법 교육의 역할
국어교육연구
2016 .06
미국의 중국어 교육 발전 과정과 특징에 관한 소고-정책과 현황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2020 .01
解读中韩民间“文化主权”纷争:民族主义的角力与影响
중국지식네트워크
2024 .05
日本人大学生の韓国イメージに関する研究 ―専攻として韓国語を学ぶ学生に注目して―
일본문화학보
2024 .11
일본 ‘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로 살펴보는 공공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다양성과 통일성의 관점에서-
일어일문학연구
2021 .11
표준어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화 연구: 기사에 달린 댓글을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23 .02
공공언어 정책과 교육의 괴리 극복 방안
동악어문학
2023 .02
매체 언어 연구의 성과와 과제: ≪사회언어학≫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0 .01
언어를 아는 것과 언어에 관해서 아는 것 — 외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중국어교육과연구
2022 .03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Korea, Japan, and Taiwan : A Comparative Study
신영어영문학
2016 .02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억양의 문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