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 전략을 사례로 분석하여, 디지털 플랫폼 기업 M&A 전략이 창출하는 경제·사회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정책 입안자들과 그 관계자들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 M&A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혁신적인 경영활동을 할 수 있는 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법과 제도의 개선을 도모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인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 전략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새로운 기술과 인력 수급, 신규사업의 가입자 기반과 공급망 등의 내부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비즈니스 전략으로써, 이는 글로벌 정보통신기술 산업의 트렌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 전략의 경제․사회적 효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수치화하여 분석하였다. 사례의 분석 결과, 첫째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는 오리지널 콘텐츠 IP 확보 등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수단으로써, 디지털 시장에서의 낮아진 검색비용으로 인해 경쟁이 강화되고, 구매자들이 본인 취향에 가장 알맞은 콘텐츠를 구매할 가능성이 극대화되는데,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는 이러한 욕구(needs)를 만족시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이용자들에 국민 차원의 경제적 효과를 부여한다. 둘째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는 기술 확보를 위한 M&A와 의미를 같이하는, 스튜디오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스튜디오 M&A의 일환인데, 이러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콘텐츠 이용자들에게 더욱 방대한 양질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효익뿐만 아니라,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들에게 기업 차원의 영업이익 효익을 부과하기도 한다. 셋째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로 인해, 음악, 스토리, 영상 콘텐츠의 다양성이 확보되며, 이로 인해 이용자들의 소비자 잉여가 증가한다. 넷째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는 OSMU 효과를 강화하는데, 이로 인해 스토리 부문의 웹툰 및 웹소설이 영상 미디어화되는 과정에서의 경제․사회적 효익과 스토리 부문이 영상 미디어화되고, 캐릭터 산업 및 IP 커머스와 같은 콘텐츠 연관 산업까지 연결되는 과정에서의 경제․사회적 측면의 효익이 창출된다. 마지막으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는 생산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수출입효과 등 세 가지 측면의 산업파급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정책 입안자 또는 관계자들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M&A가 문어발식 몸집 늘리기라는 오해를 해소하고, 국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들이 국내를 넘어 해외 빅테크 기업들과 경쟁하여 우위를 점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법과 제도 개선을 이룰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 strategy of Kakao Entertainment as a case study and analyzed the economic and social effects created by the M&A strategy of a digital platform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misunderstandings about M&A of digital platform companies by domestic policy makers and their officials and to promote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so that digital platform companies can obtain a driving force for innovative management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economic and social effects of Kakao Entertainment"s M&A strategy were quantified and analyzed in various aspects. First, Kakao Entertainment"s M&A is a means to gain competitiveness such as securing original content IP. As competition is strengthened due to lower search costs in the digital market and buyers are likely to purchase the content that best suits their taste. Kakao Entertainment"s M&A satisfies these needs, giving users of digital content platforms economic effects. Second, Kakao Entertainment"s M&A is a part of studio M&A to equip a studio system which has the same meaning as M&A to secure technology. With such a studio system it provides content users with a wider range of high-quality digital content. In addition to benefits, Kakao Entertainment"s subsidiaries are also charged with corporate-level operating profit benefits. Third, the M&A of Kakao Entertainment secures the diversity of music, story, and video contents, which increases the consumer surplus of users. Fourth, Kakao Entertainment"s M&A strengthens the OSMU effect which leads to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in the process of turning webtoons and web novels in the story sector into video media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story sector into video media as well as the character industry and IP commerce.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are creat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o content-related industries. Lastly, Kakao Entertainment"s M&A was analyzed to create industrial ripple effects in three aspects: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and import/export effect. Through this study domestic policy makers or officials can resolve the misunderstanding that Kakao Entertainment"s M&A is an octopus-style increase in size and digital content platforms competing in the domestic market compete with overseas big-tech companies beyond Korea to gain an advantage.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at will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