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최준규 (경기연구원) 이학연 (경기연구원) 조경훈 (경기연구원) 김진덕 (경기연구원)
저널정보
경기연구원 정책연구 [정책연구 2022-34] 경기도 도정 참여제도 개선방안 연구
발행연도
2022.8
수록면
1 - 207 (20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the administrative paradigm changes,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is greatly expanded.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has the policy effect of strengthening new forms of democracy.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various participation systems in Gyeonggi-do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for various participation systems. This report classified the Gyeonggi-do participation system into 26 research subjects, and reviewed the operation status and performance of the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ting proj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Gyeonggi-do participation system was composed of a simple participation and administration-oriented system.
Based on various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participation system in Gyeonggi-do.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operation and inspection of participating projects in Gyeonggi-do. Second, Gyeonggi-do should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department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system. Third,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of online platforms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it is necessary to upgrade the simple participation-oriented system. Fifth, policy linkage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ctivated. Sixth, the institutional basis for participation should be presented to enable new policy experiments. Finally, various policy alternatives could be suggested such as information disclosure, archiving, and publicity.

목차

[표지]
[정책건의]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도정참여 이론 및 제도 현황]
1. 참여 관련 이론적 배경
2. 참여 관련 제도적 배경
[제3장 정책현황 분석]
1. 중앙정부 참여제도 분석
2. 경기도 참여제도 분석
[제4장 경기도 도정 참여제도 운영현황 비교분석]
1. 분석개요
2. 분석결과
3. 시사점
[제5장 경기도 도정 참여제도 관련 전문가 인식조사]
1. 분석개요
2. 분석결과
3. 시사점
[제6장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정책 제안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309-000445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