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장윤배 (경기연구원) 최준규 (경기연구원) 조안나 (경기연구원)
저널정보
경기연구원 정책연구 [정책연구 2022-67] 경기도 맞춤형 생활환경 개선사업 지원 방안 연구
발행연도
2022.11
수록면
1 - 136 (13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living SOC projects are expected to change or shrink, a new project method is need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promoted as a central government support project, but only 63 were designated in Gyeonggi-do, and the living SOC project was terminated in 2022. There are 218 areas of urban decline in Gyeonggi-do, but the state support is insuffici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62.9% of residents were aware of the Urban Regeneration. But, looking at the limitations of this project, 45.1% of residents answered that the project was slow. The Improvement Projects of the Living Environment can be promoted through Gyeonggi-do’s own urban regeneration policy because it can quickly supply the facilities required by residents without a complicated planning process.
As the ordinance was enact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this project. 6 out of 10 residents in old-town are in favor of this project and it is recognized that the city and county should take the lead in this project.
In order to prevent duplicating support, 15 districts and 300 areas, excluding the previous project promotion areas, have an area of about 46.48 million square meters. The facilities required by residents are public parking lots, CCTV, and security-related facilities.
It is appropriate to apply by the local government and select by Gyeonggi-do,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provincial government support is possible in the range of 30% of the facility cost excluding the land cost.
After the first-stage pilot project, it is suggested to expand and apply to the second-stage project through improvement of the project procedure.

목차

[표지]
[정책건의]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관련 정책 및 사업 현황]
1. 경기도 맞춤형 생활환경 개선사업 개요
2. 중앙정부 관련 정책
3. 지자체 관련 사업
[제3장 경기도 사업 대상지역]
1. 시설 접근성이 부족한 지역
2. 주거환경이 취약한 지역
3. 사업대상지 종합
[제4장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주민의식 조사]
1. 설문개요
2. 생활환경 개선 요구시설 등 조사결과
3. 소결
[제5장 생활환경 개선사업 추진방안]
1. 기본 방향의 설정
2. 추진체계 및 지원범위
3. 관리 및 운영방안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안]
1. 결론
2. 정책제안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309-000445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