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COVID-19로 인해 우리 생활에는 전반적으로 언택트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교육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와 2020년~2022년까지도 디자인 전공의 실습 및 실기 과목을 포함한 많은 수업이 비대면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온라인 스튜디오 수업에서 학생들의 실제 학업 성취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실내디자인 스튜디오 수업에서 학생들이 학업 성취 능력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통해 강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적?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실내디자인 스튜디오 전공수업에서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특성 3가지를 측정 도구로 사용하여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 3가지 도구는 사회적 실재감, 비대면 시스템, 장소적 편의성이다. 실제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었던 사례를 통해 2022년 7월 1일에서 10일 동안 A 대학교의 실내디자인전공 7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인 측정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SPSS 통계 패키지로 빈도 및 기술 통계분석, 상관 분석, 선형 회귀 분석으로 분석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온라인 실내디자인 스튜디오 수업이 비대면 시스템(β= .368, p<.01), 장소적 편의성(β= .393, p<.01)에 정(+)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대면 시스템의 수업 품질, 장소적 편의성이 높아질수록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실재감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연결감을 느낄 수 있는 교수 시연과 실습 피드백, 토론, 크리틱, 그룹 과제 제공 등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능들을 발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는 디자인계열 과목에서 상당수 스케치와 이미지 및 컴퓨터 툴을 이용하면서 그 의미를 설명하여 디자인 의도를 전달하기 때문에 대면 수업이 효율적일 수 있지만 코로나19 시대에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스튜디오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데에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온라인 수업이 기존에 전통적인 대면 수업의 단순 대체재가 아닌 또 하나의 뉴노멀한 수업 방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spread of COVID-19 has interrupted many aspects of people’s lives. For instance, for design majors, many classes, including practical and practical subjects were conducted online between 2020 and 2022; however, research on how online interior design studio classes affect students' learning abilities and achievements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online indoor design studio classes have affected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s and to propose educational and practical solutions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 lectures. (Metho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online interior design studio clas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using three major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social presence, online education system, and convenience of location.
A quantitative analysis of actual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of 79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at University A from July 1 to 10, 2022.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al,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IBM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online systems (β=.368, p<.01), and convenience (β=.393, p<.01)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students’ achievements with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01.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lass quality and place convenience of the online system, the higher th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Conversely, social pres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Thus,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functions that allow students to interact in online classes, such as professors giving demonstrations and providing hands-on feedback, holding discussions, and designing group assignments that can make them feel more connected.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fundamental data on the impact of online studio classes on students’ achievements in the COVID-19 era . Although face-to-face classes can be an effective way for professors to communicate and transmit their knowledge using many sketches, images, and computer graphic tools, in the post-COVID-19 era, we hope that online classes will develop and establish themselves the new normal teaching method rather than a simple substitute for traditional face-to-face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