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문제의 소재
Ⅱ. 월저도안(月渚道安) 소상팔경의 창작 배경
Ⅲ. 월저도안(月渚道安) 소상팔경의 시적 인식과 풍경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말기 瀟湘八景圖의 제작양상과 의미 - 소상팔경도와 시의도의 조합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1 .01
‘시와 같은 그림’의 문화적 함의-<소상팔경도>를 중심으로-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5 .01
중국 청년들의 ‘인생의 의의’ 탐구 : 1980년 ‘판샤오 토론(潘曉討論)’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8 .12
扶餘八景詩 考察
우리문학연구
2021 .04
한일의 瀟湘八景圖 수용과 전개
일본문화학보
2024 .08
호남지역 명승의 교육적 활용방안 -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과 광주 환벽당 일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4 .02
한국과 베트남의 중국팔경 수용 양상 고찰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관장
열상고전연구
2020 .01
조선 후기 名勝과 名勝圖 향유 양상― 《韓中名勝圖帖》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22 .09
조선후기 楓橋夜泊圖 연구
민족문화
2023 .11
민화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와 소상팔경가(瀟湘八景歌)의 영향 관계 -화제(畵題) 변용과 새로운 도상(圖像)의 출현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20 .11
蕭紅 문학의 새로운 이해 - 蕭紅 중편소설에 나타난 풍자 특징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21 .09
蕭紅의 空間意識에 대한 硏究
한중인문학연구
2016 .01
담화표지로 사용되는 ‘我想’의 운율적 특징 : 일상대화를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18 .08
전통 ‘효(孝)’ 사상의 논리적 구조와 이념적 성격에 대한 연구
한국철학논집
2020 .01
주관의 발견과 지양 - 도쿄 시기 샤오훙 단편집 우차 위에서(1937)의 자전적 리얼리즘
도시인문학연구
2018 .01
조선 후기 명승 자료에 나타난 경관평가
동방학지
2019 .01
≪莊子≫에 나타난 ‘小說’의 의미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논총
2017 .01
동등비교표지 ‘像’의 문법화 연구
중어중문학
2016 .03
≪新唐書≫의 ‘小說’ 인용 고찰
중국어문논총
2019 .01
北宋時期 入中制의 實施와 范祥의 鹽政改革
동양사학연구
201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