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20~1930년대 명승의 유형별・지방별 분포 연구-종합잡지 역사지리 기사에 나타난 명승의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23 .08
호남지역 명승의 교육적 활용방안 -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과 광주 환벽당 일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4 .02
‘명승(名勝)’ 지역 콘텐츠를 통한 디지털 교육 활용 방안
문학치료연구
2024 .07
조선 후기 名勝과 名勝圖 향유 양상― 《韓中名勝圖帖》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22 .09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 및 계획 항목의 도출에 관한 연구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8 .01
퇴계 이황의 강원도 명승 재인식과 그 영향
국어문학
2022 .07
조선시대 설악산 대승폭포의 문화사
인문과학연구
2019 .03
간송미술관 소장 <골굴 석굴도>의 작가와 회화적 재현 방식 고찰
강좌 미술사
2018 .01
조선후기 지도와 기록화를 통해 본 제주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9
瀟湘八景형성 과정 연구 ― 회화와 시가의 결합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24 .10
이유원(李裕元)의 해좌명승(海左名勝) 연구
동방한문학
2024 .09
企业基因视角下乡村旅游景区管理模式演化机制研究* −以云丘山景区为例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일제강점기 철도안내서로 보는 ‘조선’ 인식— ‘명승’의 발견을 중심으로 —
日本思想
2023 .06
시지각강도를 고려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7 .01
일제강점기 대만(臺灣)의 문화재 제도화 과정과조선 비교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8 .01
서거정의 시에 나타난 풍경 구성 방식과 원림 문화―강원 지역의 명승을 중심으로―
고전과 해석
2015 .01
扶餘八景詩 考察
우리문학연구
2021 .04
민속박물관 소장 <해주팔경도(海州八景圖)>에표현된 조선 후기 해주의 풍경과 풍물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1 .12
用紙版SPOTとWEB版SPOTについての学習者の感想-大学の専攻日本語クラスにおける活用事例を中心に-
일본연구
2017 .01
월저도안(月渚道安) 소상팔경의 시적 인식과 풍경
동아인문학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