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비천한 몸’에서 ‘임의적 존재’로 : 한국계 미국 스탠드업 코미디언, 마가렛 조의 공연 연구
현대영미드라마
2017 .08
일본조선연구소의 연대(連帶)의 공명(共鳴) 방식과 일그러진 조선관 -1960년대 일본조선연구소의 연속 심포지엄과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2022 .06
19세기 여성 하위주체 초옥(楚玉)의 정(貞)의 재전유와 그 의미
고전과 해석
2022 .08
포저 조익의 성의공부로서의 무자기(毋自欺)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
2018 .01
조영출의 1930년대 시론 연구
어문론총
2018 .12
분단과 이산의 코리아문학 ― 포석 조명희와 벽암 조중흡
국제한인문학연구
2022 .08
조선의 법과 경세술
민족문화연구
2022 .02
조선 후기 중앙 군영대장 인사의 특성
사림
2021 .10
Tribute Issue: Remembering Ji-Hyung Cho
The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2015 .01
肅宗代 趙相愚의 정치활동과 금석문
민족문화
2019 .06
조식의 ʻ경의(敬義)ʼ설에서 ʻ안·밖ʼ과 ʻ성(誠)ʼ
시대와 철학
2019 .01
Julia Cho`s The Piano Teacher : A Site of Trauma and Testimony
현대영미드라마
2015 .08
A Study on Trauma Aspects in Cho Se-Hee’s Novels–Focusing on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and A Thorn Fish Coming into My Net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06
고통의 분배-조세희의 방법에 대하여-
인문학연구
2024 .08
素昻 趙鏞殷의 아호․필명 詳考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1 .09
拙修齋 趙泰徵의 師門 辨誣 考察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3 .03
김초엽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과 장애
여성문학연구
2021 .12
조선 초 한양 太平館의 건립과 운영
동양고전연구
2024 .03
홍경모(洪敬謨)의 조귀명(趙龜命) 산문 수용 양상
국어문학
2023 .11
김초엽의 SF에 나타난 새로운 존재론의 모색
비교한국학
2022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