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MZ세대의 주거환경특성,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2020년 한국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다. 주거환경특성 14개 항목을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MZ세대의 주거환경에서 14개 항목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의 Varimax로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14개 항목 중 주차시설 항목은 유효성을 저해하여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그 결과 KMO는 0.925, Bartlett의 검사결과는 0.01 미만의 유의한 확률을 보여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Z세대의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특성의 잠재변수인 주변환경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접근용이성, 이용편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MZ세대와 같은 젊은 세대 일수록 소비에 대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상업시설 접근용이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거보유의식은 유의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넷째, MZ세대의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는 주거이동에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주거보유의식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MZ세대는 산업화세대, 베이비붐세대, X세대와 다른 주거환경특성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그 요인은 주거만족도와 주거보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특성 항목들을 시대의 흐름에 맞게 개선하고 보완해야 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거양극화를 줄이기 위하여 세대의 환경과 특성에 맞는 주택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시간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차이가 나타나는지 주거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reviews prior studie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of MZ generation and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the 2020 Korea Housing Survey data. Using 14 residen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ree classifications, we explore the effect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arking facility item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by hindering validity, and as a result, KMO was 0.925 and Bartlett’s test result showed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less than 0.01. This indicates that the factor analysis model was suitable. Secon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for the MZ generation show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is a potential variabl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we fi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accessibility of commercial facilities, the more significant the sense of housing ownership appears. This suggests that the younger generation such as the MZ generation has a stronger desire for consumption. Fourth, the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of the MZ generation was significant for housing movement, but not for housing ownership. Compared to the industrialized generation,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X generation, MZ generation shows distinct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housing ownership, and housing movement. Therefo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urvey should be improved and supplemente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ioritiz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housing market that suits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eneration. Finally, our study provides implications regarding the need for housing-related research on how differ in special temporal situations such as COVID-19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