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물질문화의 풍요로움은 젊은이들의 삶에 편리함을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삶의 패턴이 빨라지고 업무 스트레스 및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등의 일련의 변화는 청년층에 많은 불안과 부정적인 감정을 안겨주기도 했다. 청년층은 행복한 삶, 즐거운 기분, 새로운 것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런 그들에게 생활공간은 안식처가 되었다. 그러나 이 시대의 젊은이들은 더이상 생활공간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에 만족하지 않고, 이들은 생활공간의 홈 인테리어 디자인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을 좋게 하고 삶의 행복을 바라고 있다. 또한, “재미있는”, “즐거운”, “치유되는” 홈 인테리어 디자인은 신체적 편안함, 즐거운 감정 및 심리적 만족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청년층의 정서적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홈 인테리어 제품으로는 침구, 커튼(Drapery), 소파(Upholstery), 쿠션(Cushion), 카페트(Carpet), 벽지 등이 있다. 홈 인테리어 디자인의 펀(FUN) 디자인은 청년층 삶의 취향, 정서적 요구 및 자기 요구를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홈 인테리어 디자인의 펀 디자인이 청년층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서 펀(FUN)의 개념과 펀(FUN) 디자인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여 정리하고, 서울 리빙디자인페어 및 부산가구박람회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펀(FUN) 디자인의 일탈성, 유아성, 반전성의 세 가지 속성을 얻었다. 둘째, 펀(FUN) 디자인이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20-29세 청년 260명(유효한 설문지 202개)를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202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를 회수한 후 데이터 분석을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일탈성, 유아성, 반전성이 모두 청소년 집단의 정서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홈 인테리어 디자인 제품이 당면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디자이너가 홈 디자인 제품이 더이상 일상의 욕구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통해 긍정적인 감성적 가치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홈 인테리어 디자인이 청년층 정서적 반응에 대한 연구에 있어 보다 나은 이론적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recent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abundance of material culture have brought convenience to the lives of young people. However, a series of changes, such as accelerating life patterns and increasing work stress and economic burden, have also caused a lot of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for young people. Young people began to show interest in happy lives, pleasant feelings, and new things. For them, the living space became a haven. However, young people in this era are no longer satisfied with the most basic functions of living space, and they are hoping for better feelings and happiness in life through the home interior design of living space. In addition, “fun”, “pleasant”, and “healing” home interior designs can bring physical comfort, pleasant emotions,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hich can affect the emotional response of young people. Home interior products include bedding, curtains, sofas, cushions, carpets, and wallpaper. The FUN design of home interior design can reflect the tastes, emotional needs, and self-requests of young people.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 of fun design of home interior design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young people.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FUN and the characteristics of FUN design were reviewed and summarized, and through analysis of the case of the Seoul Living Design Fair and the Busan Furniture Fair, three attributes of FUN design were obtained. Second, a hypothesis on the effect of FUN design on emotional response was established and objectively analyzed. Third, 260 young people aged 20-29 living in Seoul and Busan (202 valid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nd distributed, and 202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 deviance, infantility, and inversion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youth group.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by identifying the problems facing home interior design products, designers can understand that home design products can no longer satisfy daily needs and bring positive emotional value through design.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better theoretical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home interior design research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young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