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치기법은 한 사물이 기존에 있던 환경에서 벗어나 색다른 환경 속에서 새롭게 배열 및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예술적 측면, 특히 시각예술에서 두 이미지를 병치하는 것은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서, 미적 형식에 따라 서로 다른 요소를 창조적으로 구성하여 직관적인 효과를 만들어내는 표현장치이다. 병치기법의 대표적 형태 중 하나인 콜라주 예술에서 기존의 이미지는 분해 및 재구성이 이루어지면서 낯선 이미지로 치환된다. 모순과 공존의 창조적 공간을 획득하는 이들 병치기법은 기존의 객관적이고 재현적이며 전통적인 예술과는 큰 차이가 있다. 병치기법은 전통의 일원적, 또는 이원론적 대립의 사고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양성과 상호보완적 특징을 보여준다. 오늘날 콜라주는 회화의 한 기법에서 예술가들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은유하는 방법 중 하나로 혁신적인 사고방식을 담아내고 있다. 이에 콜라주는 회화뿐만 아니라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영역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 속 시공간 구축 측면에서 병치기법과 콜라주는 기존의 선형적인 시간적 질서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적 구조를 탈피하며 초현실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매체 속 병치기법의 예술적 표현 양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그리고 영화를 중심으로 병치기법과 콜라주의 관계, 그리고 미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특히 실험 애니메이션 속 병치기법으로 연출된 예술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된 분석 대상은〈블라인드 바이샤〉,〈Spiegel eiland〉, 〈좋은 날〉등의 작품으로 선정했다. 위의 작품들은 병치기법을 활용하여 시공간을 구축한 대표적인 사례로서, 과거와 미래의 모순된 시간, 꿈과 현실의 도치된 공간, 구상과 추상이 중첩된 공간의 시공간 구조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병치기법을 통해 캐릭터 심리 상태에 대한 은유와 무질서 및 비이성적인 시공간 구조, 객관적인 현실과 주관적인 환상의 동시성으로 구현한 화면, 2차원 공간의 3차원 공간으로의 전환과 같이 독특한 예술적 기능과 미학적 효과를 표현했다.
Juxtaposition techniques mean that one thing got rid of its original environment, rearranged and combined in a new environment. In art, especially in visual arts, the juxtaposition of two images is a way to create new meanings. In the meantime, it is also a performance device that can create different elements and produce intuitive effects according to aesthetic forms. In collage art,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s of juxtaposition techniques, the original image is replaced with an unfamiliar image along with decomposition and reconstruction. These juxtaposition techniques to obtain a creative space of contradiction and coexistence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art with objectivity and reproducibility. It breaks though the traditional thinking mode of monism and duality, presenting diversified and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of elements. Today, collage has developed from a technique in painting to one of the ways for artists to metaphor their inner world through their works. It is a revolutionary thinking mode. Not only has the juxtaposition techniques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painting, but also in various kinds of art fields, such as film.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of space and time in animations, juxtaposition techniques and collage break the original linear time order and objectively existing spatial structure and presents surre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tistic expression styles of juxtaposition techniques in different media. Regarding this, the observ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uxtaposition techniques and collage as well as the aesthetic significance centered on films is based on the analysis of animation, especially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juxtaposition techniques that expressed in experimental animation. The main analysis objects in this study are 〈Blind Vaysha〉,〈Spiegel eiland〉, and 〈It’s Such a Beautiful Day〉. These works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space and time construction using juxtaposition techniques, and also expresses the space and time structure of contradictory time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inverted space between dream and reality, and overlapping space between concrete and abstract. In addition, through the juxtaposition techniques, the unique artistic functions and aesthetic effects, such as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s metaphors, disorder, irrational’s space and time structures and the simultaneity of objective reality and subjective fantasy, conversion of two-dimensional space to three-dimensional space are also exp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