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유명희 (울산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8권 제1호
발행연도
2023.2
수록면
135 - 148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학교공간혁신프로젝트는 교육부의 주도하에 2019년부터 전국 17개 시도에서 진행해 오고 있는 사업으로, 단순히 노후화된 학교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이 아니라 학교교육공동체(학생, 교사, 학부모)가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학습과 놀이, 휴식 등 균형 잡힌 삶의 공간으로 학교공간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학교공간혁신프로젝트 완료 후 1년 이상의 학교 공간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공간재구조화 효과성을 확인하고 프로젝트의 보완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9-2021년에 완료된 울산시의 영역단위 학교공간혁신프로젝트 대상학교 23개교 공간 사용자들-학생, 교직원, 학부모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되, 각 주체별 공간혁신프로젝트 TF팀 참여자와 비경험자를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총 응답자는 209명(경험자 124명, 비경험자 85명)으로, 학생76, 교직원(교사+관리자) 109명, 학부모24명, 기타1명이다. 설문의 체계는 ①공간만족도 ②공간활용성 ③공간효과성 ④프로젝트 만족도 ⑤학교문화 및 기타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공간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 공간 장점은 공간 활용성과 공간기능, 디자인, 공간경험의 다양화, 단점은 규모의 아쉬움과 안전성, 운영방식로 나타났다. 둘째, 공간관계성 면에서 학교 내ᆞ 외부 공간의 관계성, 그리고 사용자들과의 소통이 증가하였다. 셋째, 교육효과성 면에서 다양한 수업방식과 자기주도 학습 활동이 촉진되었다. 넷째, 공간감수성 면에서 공간조성이후 사용자들의 학교공간에 대한 관점변화 및 공간경험과 공간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공간 활용성 면에서 새 공간 사용빈도는학생의 활용빈도가 교직원보다 훨씬 높아 교사의 교육활동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단계별로 고르게 높았으나 보완이 필요한 단계로 실시설계-디자인협의-시공 과정이 지적되었다. 이 외에 프로젝트 초기단계의 사전학습 중요성, 지속가능한 재구조화 효과성 유지를 위한 준공 후 사용단계의 프로젝트의 철학공유와 공간 홍보, 공간 활용방식에 대한 학교 공동체의 지속적 협의와 소통이 강조되었다. (결론) 연구결과, 울산광역시의 학교공간 재구조화의 주요 개념이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에 잘 반영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학교 내 공간 관계와 사용자 흐름의 재구조화를 통한 개방성 및 소통증진으로 다양한 교육과정과 교수법, 자기주도 학습이 활성화 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 재구조화는 단지 학교의 물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학교의 공동체문화와 민주적 소통구조의 변화와 깊은연관이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