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하재성 (고신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목회와상담 제40권
발행연도
2023.5
수록면
207 - 237 (3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전문가들의 우려와는 달리 코로나 시기에 한국에서 우울한 사람들의 자살률은 이전보다 더 낮았다. 이것은 코로나블루를 염려하던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사뭇 다른 결과로서 세계적인 전염병이 우울증과 자살률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물론 한국에서의 전연령별 우울증과 자살 발생 비율은 7년 전에 비해 계속 증가하고 있고 또 OECD 국가들보다 평균 두 배나 높은 수치여서 경계심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재난 가운데서도 우울증이 큰 변동 없이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한편으로는 다행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특별한 우려를 낳기도 한다. 왜냐하면 우울증이 팬데믹과 무관한 독립적 생존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울증은 유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릴 때부터 경험하는 만성적 공감 결핍은 한 인간의 안정적인 성장을 방해하고 장기적인 소진과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것은 종교·인류학적 결핍증상이라 할 수 있는 ‘결핍의 의식’과 유사하며 정신·영적인 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결핍의 의식이란 사회문화적 특권에서 배제되거나 박탈된 사람들이 비인격적인 상태에서 겪게 되는 비밀스런 통과의례를 가리킨다. 프로이트와 달리 DSM-V에서는 외적 대상의 상실조차 우울증과 연관되어 있다고 진단한다. 우울한 내담자들은 흔히 성장기 자원의 결핍을 겪은 경험자들로서 심신증을 겪으며 삶의 에너지의 고갈을 고통스럽게 느낀다. 청소년, 여성, 노년 등 다양한 계층의 우울증 양상을 살펴볼 때 성장기 결핍은 우울증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며 작용을 한다. 다만 공동의 연대감이 작용하는 자연재해나 전쟁의 상황보다는 관계의 고립과 특권의 배제에서 비롯된 내면의 결핍에서 더 크게 발생한다. 목회상담자는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이같은 개개인의 내적 결핍을 인지하고, 그것을 표현할 언어를 탐색함으로써 우울증의 오랜 시간의 정서적 결핍만 아니라 사회·영적 결핍을 보상하고 회복시키는 소망의 작업자들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