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중장거리 이동 영향 평가
5. 요약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진과학자] 대기 중 HONO의 생성 특성과 O₃ 및 PM2.5 질산염에 미치는 영향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10
국내 배출 NOX와 SO₂의 대기 중 산화율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2 .10
강원도 춘천과 원주에서 측정한 PM2.5의 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3 .04
2013~2016 기간 전국 규모 PM2.5 고농도 사례의 전반적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9 .10
겨울철 서울 지역 PM2.5 고농도 사례에서의 암모니아 과잉 여부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0
서울시 고농도 PM2.5 사례시 이온성분농도 변화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0
대기오염물질 측정 시 발생하는 질산염 증발 현상을 고려한 NOx 감축이 미세먼지 저감에 미치는 영향 정량화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Introduction to denitrification method for nitrogen and oxygen stable isotopes in nitrate and case study for tracing nitrogen sources
한국분석과학회 학술대회
2022 .05
Fermentative Bio-Hydrogen Production of Food Waste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alt (Na+) and Nitroge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19 .01
2016년 부산지역 PM2.5의 고농도 원인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11
제주도 PM10와 PM2.5의 농도 변화 특성과 외부 유입 공기괴의 영향 이해를 위한 산업기원 할로겐화합물 관측의 활용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10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itrate-dominated Pollution Episodes in Summer in Seosan, Korea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10
우리나라 권역별 고농도 초미세먼지의 2차 생성 및 기상학적 원인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수직 이류 및 확산이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미치는 영향 모사 : 2014년 2월 PM2.5 고농도 사례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0
제주지역 오존 및 미세먼지 고농도일의 기류패턴에 따른 농도변화와 기상조건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2017 .02
수도권 PM2.5 고농도 사례시 HNO₃의 생성 및 이동에 관한 모델링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0
2021년 서울 PM2.5 가을철 고농도 특성 및 요인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0
배경농도지역 고농도 초미세먼지 사례에 대한 수치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5 .11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액비 오염지역의 질산성질소 농도 추정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020 .01
PM2.5 고농도 발생 시 종관 기압 패턴 분석: 서울과 부산을 중심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