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인간 중심주의적 확신과 시각
3. 새로운 방식의 보기
4. 나가며: 인공지능의 문제와 인간의 역할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류세의 (한국)문학 서설
한국문예창작
2020 .01
환상에서 현실로: 인류세, 기후변화, 문학적 수용의 과제
인문과학
2016 .01
인류세와 지속가능한 생존
윤리연구
2019 .01
인류세와 욕망 그리고 윤리적 삶
철학연구
2025 .02
‘섬’의 시각에서 본 인류세: 새로운 복원력 개념을 통한 대안의 모색
인간·환경·미래
2022 .04
인류세 시대 행위적 실재론자 책임 윤리
환경철학
2022 .12
인류세 논의의 ‘유학적’ 의미
한국철학논집
2022 .11
Anthropocene and Its Visual Images: Focusing on T.J. Demos’s Against the Anthropocene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2 .10
기후변화 시대 인간의 조건의 변화: 인류세에 아렌트 다시 읽기
공존의 인간학
2025 .01
『지구 끝의 온실』-행위자로서의 식물을 중심으로 다시 쓰는 인류세의 지구이야기-
인문과학
2024 .02
인류세 논의의 윤리학적 의미와 도덕교육적 적용
환경철학
2023 .06
인간적 취약함의 의미 - 인간 강화 시대의 인간
가톨릭철학
2019 .01
자연과 인간의 중간지대로서의 인류세 담론 고찰 : 찰스 시버트의 『위커비: 도시의 목가』를 중심으로
문학과환경
2016 .03
Critical Analysis of Chakrabarty’s Explanatory Model of the Anthropocene: From a Hermeneutic of Scale to One of Intensity
비평과이론
2020 .01
한국소설의 비인간 전환과 탈인간중심주의
한국문학과 예술
2020 .06
인류세 시대, 환경 인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 인게이지 러닝(Engaged Learning) 수업모델 적용을 바탕으로
문학과환경
2022 .06
인간다움이라는 아름다움
월간에세이
2025 .04
어떻게 살것인가 - 인간의 길 -
세계와선교
2017 .06
인간과 인공지능의 미래: 인간과 인공지능의 존재론
현대유럽철학연구
2018 .01
인공지능 시대에서의 영적 민감성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7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