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Abstract
I. 서론
Ⅱ. 인류세 미술 담론 속 경계 흐리기
Ⅲ. 서사를 가진 기계 생명체
Ⅳ. 감정을 상호작용하는 로봇
Ⅴ.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
기초조형학연구
2021 .10
Human and Non-human Beings in the Anthropocene: Case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미술사와 문화유산
2024 .08
인간 및 생명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 인류세 시대 미술의 특징
미술교육논총
2019 .01
인류세 시대의 미술교육: 인간과 비인간 사이 관계성으로서의 예술
조형교육
2019 .01
지질학과 인류세의 미학
조형디자인연구
2021 .12
인류세의 미술: 토마스 사라세노, 피에르 위그, 아니카 이의 작업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21 .02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한 인공지능 협력 미술:이론적 기반, 성격, 그리고 미술교육의 방향
미술교육논총
2023 .06
레픽 아나돌展, 노진아展: AI 미술의 휴머니티
아트인컬처
2024 .12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에의 접근 방안 모색
조형교육
2019 .01
AI 영화에 재현된 탈기술적 징후: 과잉 생산된 억압과 폭력성 - 〈메트로폴리스〉, 〈프랑켄슈타인〉, 〈라이프 라이크〉 -
영화연구
2021 .03
알고리즘 시대의 공연예술 - 기술을 통한 ‘인간’의 재구성
한국연극학
2024 .04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에서 촉발되는 공동 창의성 연구
한국영상학회논문집
2023 .06
왜 로봇을 두려워하는가: 기계와 예술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PREVIEW : 디지털영상학술지
2023 .04
인공지능과 미술 감상 교육
미술교육논총
2024 .09
인류세의 관점에서 본 생태 미술의 특징
현대미술사연구
2021 .06
우리도 그들처럼: 토마스 사라세노와 조안 조나스의 작품에서 보는 비인간 존재와의 조우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21 .08
미술의 정의에 내재 된 인본주의의 의미: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기초조형학연구
2020 .08
야투 자연미술이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
미술교육논총
2021 .09
사이버네틱스와 공간예술의 진화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5 .12
사회적 기계와 사이버네틱 아트
한국예술연구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