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머리말 : 진파리 4호분의 재발견
II. 묵서의 판독과 서체
III. 각서의 판독과 그 의미
IV. 벽화와 묵서, 그리고 묘주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덕흥리벽화고분의 ‘觀者’묵서와 ‘觀覽者’
한국고대사연구
2021 .03
Tomb Murals of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王遺女墓誌」의 解題와北魏 女官에 대한 添言
중국사연구
2018 .01
안성천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마한 세력의 동향
고고학
2021 .12
高句麗 壁畵古墳 墨書 硏究의 現況과 그 課題
고조선단군학
2021 .12
고구려 진파리1호분 연구
역사와현실
2015 .03
평양 지역 고구려 왕릉의 위치와 피장자
한국고대사연구
2017 .12
中國 古中世 石刻資料 解題 및 譯註Ⅰ
중국사연구
2015 .01
긴골동 고구려 벽화무덤 발굴 조사 성과에 대하여
백산학보
2021 .12
4세기 서북한지역 명문자료의 다중적 메시지
한국고대사연구
2022 .06
후기 고구려 왕실의 표상(表象), 사신도 벽화고분
한국고대사연구
2023 .12
고려시대 묘지명 銘詩의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7 .01
안악 3호분 벽화의 중원 색채와 그 의의
한국고고학보
2024 .03
중국 소재 고구려 고분 전개의 역사적 의미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대구 구암동고분의 구조와 특징
야외고고학
2022 .03
대구 달성고분군의 편년과 성격
야외고고학
2020 .01
최근 북한경내 고구려 벽화무덤의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사학연구
2017 .06
중국 明?淸代 고분벽화의 墓主圖
사림
2021 .10
백제 고분벽화 연구
역사와경계
2019 .09
고임 천장 기법으로 본 유라시아와 고구려문화의 동질성
유라시아문화
202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