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은나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임영심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경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을 개발하고, (2) 예비유아교사교육 모형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1) 예비유아교사의 세계시민 교육 모형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2) 예비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모형의 효과는 어떠한가? (3) 개발된 세계시민교육 모형 적용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의 세계시민의식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이다.
예비유아교사를 대상 세계시민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3단계의 과정을 거쳤다. 준비 단계에서 선행연구와 문헌을 검토하고, 개발 단계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세계시민교육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세계시민 교사교육 모형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수행하면서 준비단계와 개발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형을 개발하고 4명의 유아교육 전문가와의 논의를 통해 현장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개발 된 모형은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기술, 태도 및 실천의지를 갖추기 위한 세계시민의식을 강화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 세계시민 지식을 기른다, 세계시민 기술을 향상한다, 세계시민 태도를 갖는다, 세계시민 실천의지를 가지고 행동으로 실천하는 교육역량을 기르는 것을 강조한다. 교육 내용으로는 지식 영역에서 세계화와 상호의존성에 대한 이해, 인권, 평화, 환경, 문화적 다양성 및 보편성, 유아를 위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지식이 포함된다. 기술 영역에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지역적 특성을 전 세계 보편성과 연결하는 능력 및 유아세계시민교육 과정 구성 및 운영이 포함된다. 태도 영역에는 정체성에 기반한 자기반성과 자기성찰, 존중, 책임의식 및 공감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실천의지 영역에는 사회참여 및 실천, 지역 사회 구성원들과의 지속적 협력 및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지속적 노력이 포함된다. 본 모형은 일주일에 한 번 15 주, 하루에 2 시간 씩 30 시간 씩 진행되었다. 강의, 토론, 동영상, 그림책 등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개발 된 모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통합하는 동시적 혼합 설계를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그룹 41명, 비교 그룹1의 46명, 비교그룹 2의 45명, 총 132 명의 예비유아교사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양적분석을 위해 3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One-Way 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계시민의식은 Youn (2017)이 개발 한 세계시민의식 척도(Global Competence scale)를 본 연구자가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하여 27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5점 Likert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또한 반성적 저널, 면담과정, 활동 결과물을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예비유아교사 대상으로 개발 된 모형을 적용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 교사는 전체 세계시민의식 및 모든 하위 영역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기술, 태도 및 실천의지 영역에 대해 실험집단의 세계시민의식 점수는 비교집단 1 , 비교집단 2의 점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은 지식, 기술, 태도 및 실천의지를 포함한 예비유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 된 모형은 실천의지 영역에 더 초점을 맞추고 현장에서의 유아세계시민 교수 역량의 내용을 강화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9
3. 용어의 정의 11
Ⅱ. 이론적 배경 14
1. 세계시민의식 14
1) 세계시민의식의 개념 14
2) 세계시민의식의 구성요소 21
2. 예비유아교사와 세계시민교육 31
1) 세계시민교육의 개념 31
2)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 40
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44
Ⅲ.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 개발 48
1. 준비단계 49
2. 개발단계 51
3. 완성단계 85
Ⅵ.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 적용 104
1. 연구 방법 105
1) 연구 대상 106
2) 연구 도구 107
3) 연구 설계 109
4) 연구 절차 110
5) 자료수집 및 분석 115
2. 연구결과 120
1)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 적용의 효과 120
2) 세계시민의식 변화 양상 131
Ⅴ. 논의 167
1.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 개발 167
2.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 적용 172
3. 개발된 세계시민교육 모형 적용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변 화 179
Ⅵ. 결론 및 제언 185
참고문헌 188
영문초록 219
부 록 22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