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제22권 제5호
발행연도
2006.5
수록면
235 - 246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management and effectiveness of incentive zoning in the special planning districts, specially focus on up-zoning area in Seou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ly, incentive contents are concentrated to public open space, thin massing on high-rise building, roof gardening. In many cases, special district development got a lot of incentives in compensation for these public spaces provided by design guide lines, but the public spaces for citizen is not guaranteed publicness. Secondly, the incentive policy was highly effective for private sector's developer. According to analysis, B/C ratio is over 1.5 in almost special planning districts and Net value average valuate 75,596 million won. This result shows that benefits by incentive zoning are given to private sector too much and urban design guidelines for incentive were abused on urban-development. Therefore, incentive policies are required for exactness in building use permission, various method and clearness on incentive endowment, effectiveness of land donation policies, and evaluate-method for public open spac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특별계획구역 결정 및 인센티브 현황 조사
4. 인센티브 제공에 따른 비용 편익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40-015485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