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문항작성의 원칙과 내용
3. 결론
〈도깨비 의식도 조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유 도깨비
창비어린이
2009 .06
『고려대장경』 불교설화의 도깨비 연구 : 인도와 중국 불경의 도깨비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3 .04
蝟島의 도깨비이야기譚考
한국민속학
1988 .09
도깨비 발톱에 찍히다 외
시조시학
2013 .06
도깨비신앙의 유형과 전승양상
민속학연구
1997 .10
도깨비와 난타
한국학논집
2004 .08
도깨비 전설과 테크놀로지 : 박하익 장편동화 『도깨비폰을 개통하시겠습니까?』 창비 2018
창비어린이
2018 .06
우리나라의 도깨비 도로-심리학적 설명과 활용 제안
탐라문화
2018 .01
'도깨비'의 심리학적측면과 상징성 : C.G. Jung의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한국학논집
2003 .12
[제9회 시조시학상 신작] 도깨비
시조시학
2010 .11
도깨비 설경과 깨비굿 영험담의 활용 연구 : 그림동화의 도깨비 형상과 이야기 활성화를 목적으로
인문콘텐츠
2011 .06
불교설화로 본 도깨비 어원 연구
우리말글
2015 .12
[문학사 발굴] 「황소와 도깨비」는 이상의 창작인가
창비어린이
2003 .12
촛불의 긴장감을 쉬게 해준 드라마들 : 〈도깨비〉와 〈김과장〉
황해문화
2017 .06
도깨비譚의 구조적 변이양상에 대한 고찰 - 全羅道 海岸지방을 중심으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1992 .01
도깨비 서사의 웹툰 수용과 변주
어문론집
2019 .12
깜박깜박하는 게 뭐 어때서? : 권문희 그림책 『깜박깜박 도깨비』 사계절 2014
창비어린이
2014 .09
아동의 사회화 매체로서 도깨비 설화
한국사상과 문화
200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