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머리말
Ⅱ. 陵山里 木簡의 出土遺構와 그 평가 문제
Ⅲ. 陵山里 木簡의 作成者와 行政支配
Ⅳ. 陵山里 木簡의 特性과 宗?儀禮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扶餘 陵山里發掘 木簡 豫報
한국고대사연구
2002 .12
扶餘 陵山里 出土 木簡의 性格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扶餘 陵山里 出土 木簡의 性格」の討論文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扶餘 陵山里 出土 木簡의 性格」의 토론문(2)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扶餘 陵山里 出土 木簡의 性格-토론문(1)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扶餘 陵山里 出土 木簡의 性格
목간과문자
2008 .06
6~7세기 新羅 木簡 書體의 書藝史的 의의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木簡硏究の視点と展開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扶餘 雙北里 현내들유적 출토 百濟 木簡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11
傳東明王陵의 築造時期에 대하여
계명사학
2004 .11
集安 高句麗王陵 硏究
고구려발해연구
1996 .12
集安高句麗王陵硏究
고구려발해연구
1996 .12
日本 木簡硏究의 시작과 현황
목간과문자
2015 .06
일본 출토 고대목간 : 근년(2012) 출토목간
목간과문자
2012 .10
한국 최초의 언어학적 ‘木簡’ 연구서 [서평] 이승재(2017), 木簡에 기록된 古代 韓國語, 일조각, 616쪽.
인문논총
2018 .01
日本 古代史의 研究와 木簡
목간과문자
2016 .12
"김일근(金一根) 저(著), 언간(諺簡)의 연구(硏究)
국어국문학
1991 .12
일본 출토 고대 목간 : 9세기 지방사회의 쌀의 출납 장부
목간과문자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