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입지로 본 傳東明王陵의 축조시기
Ⅲ. 구조로 본 傳東明王陵의 축조시기
Ⅳ. 벽화로 본 傳東明王陵의 축조시기
Ⅴ.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高句麗 長安城 築造時期에 대한 問題點 Ⅰ·Ⅱ
동북아역사논총
2005 .08
高句麗王陵硏究의 現段階와 問題點
고구려발해연구
2009 .07
集安高句麗王陵硏究
고구려발해연구
1996 .12
集安 高句麗王陵 硏究
고구려발해연구
1996 .12
宣靖陵의 歷史와 管理制度
역사와실학
2006 .12
효종(孝宗) 영릉(寧陵)의 조성과 능제(陵制)의 변화
역사문화논총
2012 .10
獻仁陵 獻陵 丁字閣 보수공사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1989 .01
扶餘 陵山里 羅城築造 木簡 再論
한국고대사연구
2008 .03
江陵學과 江陵觀光文化의 發展方案
인문학연구
2001 .02
연꽃무늬와당으로 본 광개토왕릉 비정
고구려발해연구
2019 .07
조선 태조비 神德王后 貞陵의 조성과 封陵 고찰
서강인문논총
2016 .08
江陵農樂의 特質
강원민속학
1985 .09
江陵地方 民謠 考察
강원민속학
1990 .09
江陵 「臨瀛誌」 硏究
강원민속학
1992 .09
고구려 陵園制의 정비와 그 배경
동북아역사논총
2013 .03
조선후기 山陵都監의 匠人 연구 : 王陵 丁字閣과 石儀物의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2007 .12
동명왕제사를 통하여본 고구려의 조선적성격
동북아역사논총
2006 .02
고려시대 세한삼우도의 상징과 양식 고찰 : 太祖 王建陵 벽화와 海涯 題 <세한삼우도>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6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