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24卷 第3號
발행연도
2008.3
수록면
43 - 52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composi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planning method on elementary school and to present the planning method for it. 40 schematic designs of Elementary Schools are analyzed. Two methods are used for investigation. First, spatial composition which has been intuitively used by architects is examined about the relations between function and mass. Second, J-graph analysis is adopted from space syntax methods to analyze spatial configuration. The J-graph analysis shows the degree of spatial hierarchy and of control among adjacent space in the network of buildings and space. The research findings are, firstly, the buildings and spaces classified by their function have characteristic value by spatial structure analysis; secondly, the planning types made same functional composition have another spatial hierarch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spatial structure method is needed to complement on the existing functional composition method on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s.

목차

Abstract
1. 서론
2. 건축의 공간구성(spatial composition)과 공간구조(spatial structure)의 의미 고찰
3. 초등학교 건축계획 고찰
4. 조사 개요
5. 초등학교 공간구성과 공간구조 특성 분석
6. 종합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540-001404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