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선묘불화의 성립
3. 화법상의 특징
4. 역사적 배경
5.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朝鮮前期 金線描阿彌陀三尊圖一例
미술사연구
2008 .12
선적線的 사유 : 동양회화 예술언어로써의 선에 대한 의미 고찰
현대미술학 논문집
2009 .12
道岬寺 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의 圖像 硏究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03 .12
죽화(竹畵)의 유형과 분류체제의 정립을 위한 시론
미술사논단
2018 .12
고려 초기 회화의 조명
미술사논단
2019 .06
해남 미황사의 근대기 불화
동악미술사학
2019 .01
불화 속 여인들의 머리형태에 관한 고찰- 서사적 내용 속의 여인들을 중심으로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014 .01
조선 전기 불화의 서사적 표현, 佛敎說話圖
미술사논단
2005 .12
朝鮮朝 七星佛畵의 硏究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1990 .06
1628年 七長寺 〈五佛會掛佛圖〉硏究
미술사논단
2006 .12
직지성보박물관 소장 <阿彌陀說法圖>의 畵僧과 線描佛畵 畵風
불교미술사학
2020 .01
개화기 화단의 신경향과 잡화병
미술사논단
2008 .12
조선전기 민간발원 불화의 일례 : 일본 曹源寺 소장 <釋迦說法圖>
불교미술사학
2012 .01
회화의 위기, 회화의 대안
미술이론과 현장
2004 .01
조선왕조 중기 회화의 제 양상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1997 .03
朝鮮 後期 唐詩意圖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02 .06
근대기 지방화단 연구 : 서울화단과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09 .12
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圖考 : 朝鮮時代 密敎系 佛畵의 硏究(1)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03 .09
고려 중기의 북송과의 회화 교류
미술사논단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