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요약문】
0. 들어가기-메를로-퐁티의 아카데미 여정과 참여적 글쓰기
1. 후설: 선-사물적 구성을 수행하는 촉각-신체 이자 주관영역으로의 전환점으로서 신체
2. 메를로-퐁티: 신체적 체험의 불투명성과 애매성-후설과 차이
3. 후설에 있어서 의식과 실재의 심연
4. 메를로-퐁티와 후설의 근본적 차이-의식의 순수성과 감각의 불투명성
5. 마치면서: 후기 메를로-퐁티에서 살로서 신체-의식과 실재의 심연을 넘어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후설 현상학의 이중적 얼굴은 과연 어떤 모습인가? : 『이념들』 제1권에 대한 기존의 해석과 관련된 문제들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9 .08
메를로-퐁티의 언어 현상학
철학논총
2010 .07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신체와 인간
철학
1997 .03
메를로-퐁티의 시간성:『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현대유럽철학연구
2017 .01
후설 현상학에서 공동체 논의의 출발점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4 .11
패러독스 문제로 본 후설 현상학의 성격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2 .12
현상학에서의 상상–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의 상상이론 비교
철학논총
2014 .01
내재로의 초월: 하이데거와 훗설의 철학적 관계에 대한 메를르-퐁티의 이해와 그 의의 및 한계에 관한 소고
현대유럽철학연구
2007 .01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철학연구
2008 .12
메를로-퐁티 철학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몸
철학논총
2018 .01
정치철학으로서의 현상학의 가능성 : 아렌트의 눈으로 본 후설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4 .11
메를로-퐁티의 파울 클레 : 그림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한다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7 .11
『로미오와 줄리엣』: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통한 다시 읽기
Shakespeare Review
2019 .12
상상의 현상학
철학논총
2007 .01
후설의 현상학 입문 : 내적 역사의 제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1 .12
베르그손으로부터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으로 :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5 .08
상호문화성의 현상학 : 문화중심주의를 넘어 상호문화성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6 .08
‘코나투스’ · ‘몸[身]’ · ‘살[肉]’ · ‘알[卵]’ 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독해 : 후설과 메를로 퐁티의 ‘몸’ / ‘살’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9 .04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인문논총
2010 .01
하이데거의 현상학 이해
동서인문학
200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