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주자가례』의 도입과 제례의 향방
Ⅲ. 『주자가례』의 확대와 제례 연구의 활성화
Ⅳ. 조선 중기 제례문화의 두 측면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English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상제례의 규범성과 실제성 : 제례절차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2016 .12
상ㆍ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국학연구
2010 .12
중국 명 ‧ 청대『주자가례』의 보급과 정착 과정
국학연구
2010 .06
의례와 상징 : 조선시대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 조상제례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09 .06
儒敎 祭禮의 構造와 意味- 忌祭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2005 .01
한국 선교사(宣敎史)에 나타나는 제례문제와 의미
대학과 선교
2017 .01
조선시대 한양의 국가제례 준비 공간과 시행 공간
서울민속학
2016 .12
[이 책을 말한다]주희의 『주자가례』
오늘의 동양사상
2000 .09
16세기『주자가례』담론의 전개와 특성 : 가례의 문화적 수용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6 .06
「중용」의 제례원리
철학연구
1967 .05
栗谷 李珥의 《祭儀抄》에 대한 연구 : 제사의절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7 .12
퇴계의 주체적 예학과 안동의 제례문화
안동학
2013 .12
퇴계예학의 현대적 의미와 전승 양상 : 제례문화를 중심으로
안동학
2015 .12
제사와 예배-조상 제례의 신학적 재구성
신학과세계
2008 .04
서울지방의 무속신앙(巫俗信仰) 제상(祭床)차림을 통(通)하여 본 식문화(食文化)에 대한 고찰(考察)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88 .01
유교 제례에 담긴 조상 인식의 다면성 연구
역사민속학
2016 .06
이황과 이익의 상·제례 예설 비교
韓國史學史學報
2020 .01
현대사회에서 祭禮, 무엇이 문제인가
역사민속학
2001 .06
설화문화학적 관점에서 본 제사문화와 제례의 민중적 인식
민속연구
1999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