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要旨〉
1. はじめに
2. 混種語の使用度とその性格
3. 混種語の出自の考察
4. おわりに
【?考文?】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찰과 연구] 우리 말의 혼종어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05 .01
『天草版平家物語』の混種語についての史的考察
일본문화학보
2000 .08
한중 인터넷 통신 공간의 혼종어 비교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4
平家物語の混種語について
일본문화연구
2012 .07
우리 말 외래어연구에서 외래어와 혼종어를 갈라볼데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14 .07
室町時代の混種語の語構成に関する考察
일본문화연구
2017 .01
軍記物語の混種語の考察 -『平家物語』と『太平記』を対照して-
일본문화연구
2019 .07
신문 광고 어휘의 품사별ㆍ어종별 분포 양상
한글
2011 .12
『太平記』に見る混種語の研究
일본문화연구
2015 .01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와 혼종어 접미사
한국어학
2003 .11
범주로서의 품사와 품사 전형성 : 명사와 그 중복 범주를 대상으로
한국학연구
2011 .12
무엇을 명사라고 하는가?
언어학
2008 .04
枕草子の混種語
일본문화연구
2011 .01
Korean Influence on Japanese Ink Paintings of the Muromachi Period
Korea Journal
1997 .12
정지용 시의 어휘문체론적수단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2014 .11
「명사+の+명사」의 고찰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07 .09
명사론
어문학
1976 .05
무엇을 명사라고 하는가?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7 .07
품사 통용어 교육을 위한 품사 개념 및 품사 통용어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언어학 연구
2016 .07
품사분류 연원과 중국어 품사분류 발전과정
중국언어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