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선미 (한양대학교)
저널정보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인지 담화와인지 제17권 제1호
발행연도
2010.4
수록면
91 - 111 (2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discourse markers use by Malaysian advanced learners of Korean. This is becau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are necessarily required to have discussion ability expressing their opinions on the social issue or certain subject clearly and persuading an opponent. And, especially it's because education on discourse markers is essential for the strategic operation of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earners of Korean only use dicourse markers of direct speech act, In contrast, native speakers actively use discourse markers of indirect speech act to respect others' honor. And learners of Korean create awkward dicourse markers not shown in the native speakers, and commit many errors in inflecting and selecting of the tense and particle when using discourse markers.

목차

1. 서론
2. 토론 담화표지 분석의 틀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701-003279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