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윤경 (상해외국어대학)
저널정보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인지 담화와인지 제23권 제1호
발행연도
2016.2
수록면
159 - 186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discourse markers function at the level of discourse, in this paper we attempt to present a new and whole view on Chinese discourse markers through classifying from three different angles:semantic scope, activity and typicality. And we use the core concepts of “semantic scope” and “discourse model”to explain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s. In the discussion of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Chinese and Korean discourse markers , we hold that because of belonging to different language types, Chinese and Korean discourse markers have different presenting models, which are more obviously shown in typical discourse markers. Therefore, we make a concrete analysis on Chinese discourse markers and its Korean correspondent forms, and investigate their commonness and difference, so a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discourse markers and we hope it is beneficial for language teaching and acquisition research.

목차

1. 머리말
2. 담화표지어의 이론적 배경
3. 담화표지어 유형에 따른 분류
4. 중한 담화표지어 대조
5.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9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701-002661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