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The Sun and the Line
Ⅱ. The First Principle, the Forms and Dialectic
Ⅲ. The Nature of Dialectic as an Object of Noesis
Ⅳ. Concluding Remarks
Works Cited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플라톤의『국가』에서 선분 비유와 동굴 비유
철학사상
2008 .02
플라톤에 대하여
인물과사상
2015 .02
플라톤의 이상 국가
현대사상
2009 .10
후설 노에마에 대한 휄레스달의 해석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6 .02
플라톤의 정의론
철학과 현실
1995 .03
후설 현상학에서 보는 교육의 방법론
철학논총
2002 .10
하나의 체계인 플라톤 사상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03 .12
플라톤의 국가 편 선분의 비유 속의 수학적 탐구의 본성 : 특히 ‘가정’과 ‘영상’의 관계를 중심으로
철학
2000 .11
플라톤과 민주주의
서양고전학연구
1989 .12
플라톤의 '국가' 편에 나타난 정의(正義) 개념
철학연구
1998 .11
플라톤 국가론의 교훈
현대사상
2019 .09
비유
신학지남
1918 .07
비유
신학지남
1925 .04
플라톤의 후기 존재론 연구 : 플라톤에 있어 형상의 Physis 와 Dynamis
철학연구
1984 .12
플라톤의 지속가능한 불평등과 한국
철학과 현실
2016 .06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나타난 공간 개념
철학
2006 .05
플라톤의 『국가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
대구사학
2014 .01
논평_플라톤이 말하는 ‘잘 죽기(well dying)’의 의미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9 .11
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철학사상
2012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