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창극의 태생과 국립창극단 창단
2. 국립창극단 활동의 시대별 특징
3. 제1기: 협률사 창극전통과 국립국극단(1962~1970)
4. 제2기: 창극정본화 작업과 박진ㆍ이진순ㆍ이원경의 작업(1970~1980)
5. 제3기: 허규 시대: 창극과 마당놀이의 거리(1978~1990)
6. 제4기: 창극양식의 다양한 시도(1990~1998)
7. 제5기: 보편적 음악극으로서의 창극(1998~2010)
8.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50-80년대 방송 제작 창극의 현황과 특징
민족문화연구
2016 .01
창극의 새로운 공연 포맷 개발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2010 .03
조선성악연구회의 창극 <흥보전>과 <심청전>에 관한 일 고찰 : 1936년 11~12월의 ‘형식적 실험’과 ‘양식 정립 모색’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15 .08
강용환의 창극 활동 연구 : 가계자료 및 박황 기록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7 .08
『조선창극집』(1955) 소재 창극 대본 〈흥보전〉의 특징과 의미
국어국문학
2015 .03
음반 창극 <사명대사>(1971)의 형식적·내용적 특징과 자료의 의미
공연문화연구
2019 .01
20세기 창극 〈장화홍련전〉의 존재양상과 특징적 면모
우리문학연구
2018 .01
<적벽가> 창극화의 전략과 한계
공연문화연구
2019 .01
오케판 春香傳全集 연구
동악어문학
2005 .08
1930년대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의 창극적 상상력과 식민성
공연문화연구
2019 .01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와 창극화의 도정 - 1934년 4월부터 1936년 9월 「춘향전」 공연 직전까지의활동상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2015 .01
김연수 창본과 창극대본 〈수궁가〉 비교연구
한국학연구
2016 .06
A Study of the Diaspora Problem in Japanese and Korean Performing Arts Based on Joseon Tongsinsa 朝鮮通信使 : Focusing on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Musical Tsubame つばぬ (2002) and Changgeuk Jebi 春燕 (2004)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7 .06
창극 유성기음반의 녹음과 음악적 변화 양상
동악어문학
2012 .02
국립창극단 『심청가』의 비극성 표현양상 연구 : 인당수 장면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5 .12
박송희 명창의 삶과 예술 활동
공연문화연구
2018 .01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에 따른 박동진제 춘향가 소리 대목의 변이 양상
우리말글
2018 .09
기생에서 ‘여배우’로 : 1910년대 김채란의 활동을 통해 본 ‘극장기생’의 존재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
2018 .08
《콜롬비아판 창극(唱劇) 춘향전(春香傳)》 고찰(考察)
동악어문학
1989 .12
포스트서사극시대 우리 전통극의 새로운 가능성
세계문학비교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