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제56장: 어떤 방식을 통해서 지성적 실체는 육체와 합일될 수 있는가?
제68장: 어떻게 지성적 실체가 육체의 형상일 수 있는가?
제69장: 지성적 실체는 형상으로서 육체와 합일될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하려고 위에서 도입된 근거들에 대한 해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격에 대해 영혼-육체의 통일성이 지니는 의미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철학사상
2010 .02
이론/육체, 무엇이 문제인가?
문화과학
1993 .09
육체와 도시
문화과학
1999 .12
아름다운 영혼의 지성
철학과 현실
1992 .09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성의 대상과 작용 : 『영혼론』 제3권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1998 .12
영혼의 불멸성과 육체의 부활이 인격에 대해 지니는 의미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철학사상
2012 .02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한 생명신학적 탐구: 영혼/육체 일치의 통전적인 이해의 추구
한국조직신학논총
2014 .01
영혼이 신체의 형상이면서 실체일 수 있는가?
신학전망
2003 .06
현실/육체의 관리와 문화효과
문화과학
1993 .09
부활, 분리된 영혼 그리고 동일성 문제 : 토마스 아퀴나스의 경우
철학연구
2012 .09
토마스 아퀴나스와 심신이원론의 문제
철학연구
2002 .12
생명의 원리에서 인격의 중심에로 : 서양철학적 관점에서 본 영혼론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1 .06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신적인 실재’로서의 지성혼의 자기이해와 내면성
철학연구
2007 .02
실체
철학과 현실
1991 .06
문학 모티프와 테마를 찾아서 - 이재선의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문학과 지성, 2007)
한국문학과 예술
2008 .09
기계지성,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지식의 지평
2016 .12
육체적 도시: 시각주의적 도시성에서 육체적 실천의 도시성으로
문화과학
2000 .06
육체가 소멸되었을 때, 인간 영혼도 소멸되는가?
인간연구
2011 .07
보나벤투라의 복수 실체적 형상론에서 인간의 통일성의 문제
현대유럽철학연구
2015 .01
유럽지성 5인을 만나다
철학과 현실
2008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