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요약]
1. 들어 가면서
2. 판단력의 선험적 이론
3. 판단력-도식
4. 구상력
5. 도식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판단력 칩
인물과사상
2001 .07
칸트 철학 체계에서 판단력의 위치
철학논총
1992 .10
칸트철학에서 판단력과 매개 활동에 관한 연구
대동철학
2006 .01
칸트의 도식론 : 규칙론적 접근
철학연구
1999 .09
칸트에게서"자연의 합목적성"(Zweckmaßigkeit der Natur)은 어떻게 가능한가? : 『판단력비판』의"목적론적 판단력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5 .03
정치적 판단력 비판 :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1992 .03
칸트철학과 소통의 문제 : 아렌트의 칸트 '반성적 판단력'과 '공통감' 해석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0 .06
실천적 판단력의 탐구
성곡논총
1994 .06
칸트 저(백종현 역),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철학
2010 .02
판단력 비판에 있어서 변증론에 대한 연구
코기토
1982 .12
칸트(I.KANT)의 理論理性과 實踐理性
철학논총
1991 .11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 구상력의 문제
철학논총
2000 .04
KANT의 도식에 관한 연구(Ⅱ)
철학논총
1989 .04
칸트의 도식론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1996 .12
칸트의 도식론
철학연구
1983 .12
칸트의 목적론적 자연관에 나타난 인간중심주의 :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을 중심으로
철학
1998 .05
사회적 맥락 내에 있는 원칙 : 의료 윤리와 판단력
철학연구
2001 .06
Kant의 〈판단력 비판〉에서 개별성(das Besondere)의 의미와 기교(Technik)의 역할
철학탐구
1993 .11
칸트의 자연목적론 , 그리고 형이상학
철학연구
1998 .12
0